
서울시는 ‘제1차 서울혁신대학지원위원회’를 개최하고, 2025년 서울시 라이즈(RISE)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등을 심의·의결했다고 24일 밝혔다.
라이즈는 정부가 대학 재정지원사업 예산 집행권을 중앙정부에서 지자체로 이관해 지역과 대학의 동반 성장을 모색하는 사업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공동위원장인 오세훈 시장과 서울 소재 대학 총장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형 라이즈의 5개년 기본계획과 센터장 임명 등에 관한 내용을 심의하고 공동위원장을 선출했다.
공동위원장에는 원용걸 서울시립대학교 총장이 선출됐다. 원 공동위원장은 “서울시는 전문대 포함 50개 이상의 대학들이 모여있는 세계적으로 유래가 드문 도시”라며 “서울에 있는 대학들이 각자 발전을 위해 노력해왔지만, 이제는 대학이 서울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된 만큼 주어진 직무에 충실히 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서울혁신대학지원위원회는 서울시장, 대학총장, 민간 전문가 등 총 23인으로 구성된다. 이날 회의에서 서울형 라이즈 기본계획이 심의·의결되면서 시는 올해 765억원(국비 565억, 시비 200억) 등 향후 5년간 총 4225억원을 투입해 ‘서울형 라이즈’를 추진한다.
서울형 라이즈 계획은 △글로벌 대학 경쟁력 강화 △서울 전략산업 기반 강화 △지역사회 동반성장 △평생·직업교육 강화 △대학창업 육성 등 5대 프로젝트, 12개 단위과제로 구성했다.
구체적으로 글로벌 산학협력, 해외 우수 인재 유치, 해외 우수대학과의 교류 등 글로벌 대학 경쟁력 강화하고, 산학협력 생태계 활성화를 통해 서울의 전략산업 기반을 강화한다. 또한 서울과 지방 대학 간 교육격차를 해소하고자 비수도권 대학과의 공유·협력을 확대하는 초광역 사업을 도입한다.
글로벌 대학 경쟁력을 강화를 위해서는 글로벌 산학협력 선도 대학 10개교와 본 글로벌 기업 40개를 육성한다. 또한, AI 등 첨단 미래산업에서 우수 인력 확보를 위해 석사급 해외 우수인재 500명(2029년까지) 유치, 미래인재 글로벌 역량 강화를 위한 해외 우수대학과의 공동 교육도 추진한다.
대학의 역량을 활용해 서울의 전략산업들과 연계함으로써 첨단 미래산업 기반도 강화한다. 이를 위해 산학협력 집중 육성 22개 대학, 산학협력 고급인재 1300명, 창조산업 인재 500명 등 육성과 양재, 홍릉 등 인공지능(AI)·바이오 클러스터와 연계해 산업생태계 확장을 시도한다.
지역사회와의 동반 성장을 위해서는 대학이 지역 현안 문제를 발굴 및 해결(5년간 100건 목표)하고, 늘봄학교 프로그램 개발 등 교육·돌봄 기능을 강화하는 한편, 서울과 지방 대학 간 공동 교육 운영 등 인재 교류를 통해 지역간 교육격차 해소 등을 추진해 지방과의 상생을 모색한다.
평생·직업교육도 강화해 시민 1만5000명이 참여하는 성인학습자 대상 ‘열린대학’을 운영하고 전문대학을 통한 산업현장 맞춤형 전문 기술인재 800명 양성 등 지역사회에 대한 교육 기능도 강화한다.
마지막으로, 대학창업을 육성한다. 서울캠퍼스타운 사업을 통해 대학별 창업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연 1000개의 예비·초기기업을 육성해 지역과 대학 중심의 미래산업 경쟁력 확보를 추진한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오랫동안 기다렸던 라이즈가 모양을 갖추고 출범하는 첫 날이 됐다”며 “대한민국의 미래는 대학이 만들어나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중요한 역할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런 관점에서 서울혁신대학지원위원회가 라이즈의 틀을 어떤 방향으로 잡아주는 지에 따라 서울시, 나아가 대한민국의 미래가 좌우된다고 본다”며 “라이즈의 큰 성과를 낼 수 있도록 한분 한분 지혜를 모아주시길 부탁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