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조9067억 AI 분야 추경안 의결…“골든타임 놓치지 않도록”

1조9067억 AI 분야 추경안 의결…“골든타임 놓치지 않도록”

-AI 분야 추경안 618억 증액, 1조9067억원 규모
- AI컴퓨팅 인프라 확충 위해 첨단 GPU 1만장 연내 확보
-유 장관 “절박한 심정으로 AI 골든 타임 놓치지 않을 것”

기사승인 2025-05-04 06:00:07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4월 7일 세종 정부세종청사 기자실에서 ‘2025년도 과기정통부 핵심과제 3월 실적 및 4월 계획’을 브리핑 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정부안 대비 618억원 증액된 1조9067억원 규모의 인공지능(AI) 분야 추경안이 1일 열린 국회 본회의에서 의결됐다고 밝혔다.

정부는 1년이 늘어지면 경쟁력이 3년 뒤쳐진다는 인식 아래 AI분야 추경으로 AI컴퓨팅 인프라 확충과 차세대 AI모델 개발, 인재 양성 등을 위한 핵심 과제를 집중 투자한다. 이미 미국, 중국, 유럽연합(EU) 등 주요국은 AI 주도권 확보를 위해 수백조원에 이르는 투자를 진행 중이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AI컴퓨팅 인프라 확충을 위해 1조6341억원의 예산을 신규로 투자해 첨단 그래픽처리장치(GPU) 1만장을 연내 확보한다. 또 민간이 보유한 첨단 GPU 3000장 분량을 임차해 활용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국산 AI반도체의 조기 상용화를 위해 실증 사업을 확대한다. 국내 AI반도체 기업들이 골든 타임 내 신경망처리장치(NPU) 상용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올해 실증 예산이 417억원에서 871억원으로 늘어났다. 과기정통부는 NPU실증 인프라 외에도, 온디바이스 AI, 해외실증 등 신시장 개척을 위한 지원도 강화할 예정이다.

글로벌 최고 수준의 AI 모델 개발을 목표로 국가대표 AI 정예팀 5개를 뽑는 ‘(가칭)월드 베스트 LLM(거대언어모델)’ 프로젝트에 2136억원이 투입된다. 최대 3년 동안 GPU, 데이터, 인재 등 필요한 자원을 집중 지원할 계획이다.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에 필요한 GPU는 민간이 보유한 첨단 GPU 임차를 통해 우선 지원하고, 각 팀의 AI 개발 목표 달성에 필요한 데이터 구축‧가공‧활용 비용을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해외 최고급 AI 연구자의 국내 유치를 위해 연 최대 20억원을 지원하며 유치한 인재는 월드 베스트 LLM 프로젝트에 우선 투입된다.

올해 하반기에는 약 150억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해 AI 인재들이 겨루는 ‘글로벌 AI 챌린지’를 연다. 국내외 박사후연구원 400명에게 최고 수준의 처우 및 집단‧융합연구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어 AI 관련 스타트업 성장을 지원하는 ‘AI 혁신펀드’의 정부 예산을 1000억 규모로 증액했으며 100억원의 예산을 추가해 연구개발특구 내 AI분야 우수한 연구소기업의 AI기술사업화와 인공지능 전환(AX)확산을 도모한다.

AI·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해 무장애(배리어프리) 키오스크 기술 및 보급 지원에 92억원을 신규 지원한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AI 주도권을 둘러싼 글로벌 결정 속에서 시급한 예산이 확보되었다”며 “과기정통부는 절박한 심정으로 골든 타임을 놓치지 않도록 전방위적인 노력을 기울일 것이며 혁신적인 기술과 인재양성, AI의 확산 등에 대한 신속한 예산 집행을 통해 글로벌 3대 강국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우진 기자
jwj3937@kukinews.com
정우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