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미 양국이 상호관세 조정 협상 타결로 한국에 적용되는 관세가 15%로 확정되자 식품업계가 대응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1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미국에 생산기지가 없는 삼양식품은 미국 내 일부 제품 가격 인상 여부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높아진 관세 부담을 반영하기 위한 것으로, 월마트와 코스트코 등 현지 대형 유통사와 협의해 구체적 인상 폭을 조율할 예정이다.
삼양식품은 ‘불닭볶음면’ 등의 미국 수출 비중이 높아 관세 인상에 대응하기 위해 태스크포스(TF)를 꾸리고 미국 법인과 여러 시나리오를 검토해왔다. 삼양식품의 지난해 전체 매출 1조7280억원 가운데 해외 매출이 77.3%를 차지한다. 미국 법인 매출만 2억8000만달러(약 3868억원)로 28%에 달한다.
오뚜기도 대응책 마련으로 분주한 모습이다. 오뚜기 관계자는 “내부적으로 추후 대응 방안을 논의 중”이라며 “직접 거래하는 현지 유통사나 에이전트를 통해 납품하는 거래처가 다양하게 있다보니 그들과도 협의 과정을 거쳐 최종 방향을 정할 것 같다”고 설명했다.
반면 CJ제일제당과 농심 등은 이번 관세 협상의 영향이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 농심은 미국 현지서 직접 생산을 하고 있으며, CJ제일제당은 현지생산과 국내 수출을 병행하고 있어서다.
대상도 CJ제일제당과 마찬가지로 현지생산과 국내 수출을 병행하고 있지만 가격 인상을 고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종가 김치 절반을 한국에서 생산해 미국으로 수출하고 있어 관세 영향에서 벗어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 대상 관계자는 “비용 부담이 가중된 만큼 국내 원가 절감과 유통망 개선에 힘쓸 것”이라며 “LA 현지 생산라인 증설을 앞당기는 방안도 고려 중”이라고 말했다.
대상은 2022년 미국 로스앤젤레스(LA) 인근에 종가김치 생산공장을 세운 데 이어 지난해 현지 식품업체 럭키푸즈를 인수해 북미 생산기반을 강화한 바 있다.
한편 정부는 전날 미국에 3500억 달러(약 488조 원)를 투자하고 상호관세를 기존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합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