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미 관세 협상을 마치고 귀국한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우리나라 조선 전문 인력의 미국 파견 카드가 협상 과정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한미 조선협력 ‘마스가(MASGA) 프로젝트’가 인력을 중심으로 확장할 전망이다.
김 장관은 5일 오전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협상단이) 미국에 있는 노동자들을 어떻게 훈련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프로그램들을 가지고 갔었는데, 거기에 대해서 (트럼프 대통령이) 굉장히 높이 평가했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미국의 가장 아픈 부분이 배를 짓는데 지을 수 있는 역량이 있는 노동자들이 없는 것”이라며 “조선산업의 핵심은 배 용접인데 그런 부분에 대해 우리가 미국 노동자들한테 기술을 트레이닝하겠다고 했고, 이런 프로젝트에 대해 (미국 측이) 굉장히 현실성 있게 받아들였다”고 말했다.
미국 조선소 현대화 등을 위한 1500억달러 규모 마스가 전용 펀드에 더해 구체적인 현지 조선 인력 양성안이 미국 정부의 마음을 끌어 협상 타결에 일조했다는 해석이다.
현지 인력 양성은 국내 조선 빅3이자 글로벌 1위 조선사인 HD한국조선해양이 현지 주도 역할을 맡을 것으로 전해졌다. HD한국조선해양의 모그룹인 HD현대는 지난해 7월 미국의 조선업 재건 지원을 위해 서울대 및 미국 미시간대와 ‘한미 조선산업 인재육성을 위한 교육 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바 있다.
이밖에도 미국이 관심을 가진 스마트 조선소 구축을 위해서는, 현지 조선소를 보유한 한화오션과 미국 최대 방산 조선사인 헌팅턴 잉걸스와 생산성 및 기술협력 MOU를 맺은 HD현대중공업이 힘을 보탤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