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방공기업들이 공공성과 효율성 측면에서 전년도에 비해 전반적으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안전·환경 분야에선 경영평가 점수가 하락했다.
6일 행정안전부가 281개 지방공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경영평가 결과에 따르면 지방공기업들은 ‘공공성’ 측면에서 도시철도 승객수송인원 증가 등 기관 고유의 공공서비스가 확대되고 있고 환경·사회·투명(ESG) 경영 전담조직 구성, 청년주택 공급 확대 등을 통해 지역과 상생하는 공적 역할도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고객만족성과는 전년 대비 1.89점 상승했다.
효율성 측면에서는 업무디지털화와 환경변화에 대한 능동적인 조직 운영 등을 통해 경영체계가 효율화되고, 다양한 수익창출 노력을 통해 물가 상승 등 어려운 경영환경에도 임직원1인당 영업수익은 소폭 증가하는 등 경영성과가 개선된 것으로 평가됐다. 이에 따라 경영효율성과 윤리경영 관련 경영평가 점수는 전년 대비 각각 1.15점, 1.43점 올랐다.
다만 1년전과 비교해 안전·환경 분야(2.76점↓)와 주요사업성과(2.13점↓) 지표가 하락했다. 이와 관련 사업장 특성에 맞는 재난·안전예방체계 구축 등 선제적 대응 노력과 보다 적극적인 수익 창출 및 사업관리 개선이 필요하다고 평가됐다.
기관별로는 대구교통공사(도시철도 유형), 대전도시공사(도시개발 유형), 부산관광공사(관광공사 유형) 등 23개 기관이 최상위인 ‘가’ 등급을 받았다.
반면 경영평가 결과가 부진한 기관은 △최근 3년간 ‘라’등급 이하로 평가, 안전사고 건수가 동일유형 대비 높은 수준 등 관리체계에 문제점을 보인 광주시서구시설관리공단과 △3년 연속으로 적자와 영업수지비율 하락이 발생된 문경시상수도 등 7개 기관이 선정됐다.
행안부는 교수, 회계사 등 전문가로 경영진단반(기관당 5인 이내)을 구성해 경영진단을 실시하고, 정책위 심의를 거쳐 연말까지 임직원 인사조치, 사업축소, 제도개선 등 경영 개선 명령을 통해 중점관리할 계획이다.
평가 결과에 따라 지방공기업들의 기관장은 최대 400%에서 0%(익년도 연봉 10-5% 삭감)까지, 직원은 최대 200%에서 0%까지 경영평가 평가급이 차등 지급된다.
김민재 행안부 차관은 “이번 평가 결과를 통해 나타난 개선 과제 등을 면밀히 분석하고, 관련 제도개선과 맞춤형 지원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라며 “지방공기업이 혁신 경영을 통해 지역주민에게 신뢰받고, 지역발전을 견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세종=김태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