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설주가 동반 하락 마감했다. 정부가 산재 사망사고 근절을 위해 건설사에 대한 강력한 규제를 시사하자 투자심리가 크게 위축됐다. 특히 기관의 매도세가 거셌다.
13일 한국거래소(KRX)에 따르면 코스피 건설업종 지수는 전일대비 1.97% 하락했다. 이날까지 나흘 연속 약세다. 특히 HDC현대산업개발이 11.09%, 태영건설이 6.26% 급락하며 업종 지수를 끌어내렸다. 현대건설(-3.18%) GS건설(-2.27%) DL이앤씨(-1.78%) 등 대체로 파란불을 켰다.
투자주체 중에선 기관이 건설업종 내 종목을 대거 팔아치웠다. 기관은 이날 건설업종에 대해 681억원 가량 순매도에 나서며 업종 기준 가장 많이 팔았다. 이날 기준 기관 순매도 종목 1위엔 현대건설이 이름을 올렸다. 기관은 현대건설을 459억7400만원 순매도했다. HDC현대산업개발도 115억4900만원 어치 순매도에 나섰다. 이밖에 DL이앤씨 GS건설 등도 순매도 상위를 기록했다.
정부가 건설사에 대해 산재 사망 사고와 관련 이전보다 강력한 규제를 하겠다고 밝히자 투자심리가 냉각된 것으로 보인다. 더해 부동산 수요 규제책 역시 건설주 수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이다.
신대현 키움증권 연구원은 “정부의 부동산 수요 규제책이 (건설사 주가를) 억누르는 가운데 건설사들의 사고에 따른 정부의 강력한 처벌에 대한 불확실성도 추가됐다”면서 “면허취소는 예상보다 강력한 처벌로 시장에서 (건설주에 대한) 우려가 생기는 요인”이라고 짚었다.
고용노동부 등 관계부처에 따르면 산재 사망 사고를 근절하기 위해 다수·반복 사망 사고가 발생하면 법인에 대해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한다. 과징금은 징벌적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단순 경고성 제재에 그치는 과태료보다 부과 금액도 훨씬 크다.
또한 현행 ‘동시 2명 이상 사망’하는 경우 건설사 영업 정지나 입찰 제한이 가능하게 한 요건을 ‘연간 다수 사망’ 등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영업정지 이후에도 비슷한 사망 사고가 발생한 건설사에 대해선 등록말소 요청을 할 수 있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관련 대책은 9월 초 가량 발표될 예정이다.
정부의 강력한 규제에 맞춰 건설사들이 강도 높은 대응에 나서면 업황 개선이 생각보다 늦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전문가의 분석이다. 배세호 iM증권 연구원은 “건설사들은 산업 재해 이슈에 대해 과거와 달리 △신규 수주 중단△작업 중지 등의 강도 높은 대응을 하고 있다”며 “이는 부진한 건설 경기의 턴어라운드 시점을 지연시킬 수 있는데다 장기적으로는 공사 원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중장기적으로는 실적 모멘텀이 살아있다는 점에서 주가 하락 시 매수 전략도 가능하다는 분석도 있다. 신대현 연구원은 “부동산 가격의 하락세가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며 하반기부터 내년까지 실적 개선세가 여전히 유효하다”고 판단했다. 따라서 주가 하락 시 매수 전략을 추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