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16일부터 20일까지 담양군에는 시간당 80mm가 넘는 폭우가 쏟아지며 평균 누적 강우량이 538.8mm에 달했다. 12개 읍면에 걸쳐 연간 강수량의 절반이 닷새 만에 집중됐지만, 선제적 주민 대피와 전 공직자의 총력 대응으로 인명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군은 즉각 비상 3단계를 발령해 24시간 대응 체제에 돌입했고, 저지대와 산사태 위험지역 주민 480명을 긴급 대피시켰다.
이번 집중호우 피해액은 총 409억 원으로 확정됐다. 공공시설 피해는 도로·하천·수도시설 등 222억 원, 사유시설 피해는 주택 257건·농림시설 1382건 등 186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른 복구비는 총 1230억 원으로, 공공시설 복구비만 1167억 원에 달한다.
피해액이 특별재난지역 선포 기준인 102억 5000만 원을 크게 웃돌면서 담양군은 지난 7월 22일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됐다. 이에 따라 국고 추가 지원과 세금·전기요금·TV 수신료 감면 등 실질적 지원이 가능해졌다.
복구비 증액에는 정철원 담양군수의 적극적인 활동이 큰 역할을 했다. 정 군수는 행정안전부 재난안전대책본부와 복구지원국을 직접 방문해 피해 상황을 설명하고, 중앙합동조사에 적극 협력해 애초보다 400억 원 이상 많은 825억 원의 개선복구 사업비를 확보했다.
또 김영록 전남도지사에게 하천·우범지역 CCTV 확충 예산 5억 원을 건의해 지원 약속을 받았으며, 오례천·어사천·가사천 등 3개 하천이 모두 개선복구 대상지로 확정됐다.
집중호우 피해 주민들을 위한 생활안정 지원금과 위로금은 총 63억 원 규모로 확정됐다. 담양군은 이를 신속히 지급해 주민들의 생활 안정을 돕는다는 방침이다.
정철원 군수는 "이번 복구비 확보는 단순한 피해 수습을 넘어 군민의 안전을 지키고 재해를 예방하는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피해 지역 복구와 항구적 재해예방 시설 확충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