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검찰청 해체와 수사·기소 분리 입법을 이번 달 안에 마무리하겠다고 밝혔다.
정 대표는 8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70여 년 동안 수사·기소 독점권으로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둘렀던 검찰청이 해체된다”며 “이달 말 검찰개혁을 포함한 정부조직법을 반드시 본회의에서 처리하겠다”고 공언했다.
이어 “기소권과 수사권은 분리되고 이를 전담할 공소청과 중수청이 신설된다”며 “두 기관을 법무부와 행정안전부 산하에 각각 두어 상호 견제와 균형 속에서 운영되도록 설계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이제 중요한 것은 실천”이라며 “국민 덕분에 검찰개혁이 시동을 걸 수 있었다. 국민에게 감사드리며 차질 없이 9월 안에 입법 조치하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 대표는 검찰개혁의 공을 이재명 대통령에게 돌렸다. 그는 “검찰 개혁은 역대 정부가 모두 실패했지만, 이 대통령의 검찰개혁에 대한 강력한 의지와 결단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며 “후속 조치도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게 당정대(민주당·정부·대통령실)가 원팀·원보이스로 성공시키겠다”고 강조했다.
정 대표는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최강욱 민주당 전 교육연수원장에 대해서도 입을 열었다. 그는 “피해자와 국민께 심려를 끼쳐드린 점에 대해 당대표인 제가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윤리 심판을 위해 적절한 조치를 취하고, 재발 방지를 위해 당 기강 확립에 나서겠다”고 약속했다.
앞서 최 전 원장은 지난달 31일 대전에서 열린 조국혁신당 대전·세종 아카데미에서 혁신당 성비위 사건을 두고 “사람으로서 그렇게 죽고 살 일인가”, “좋아하는 누가 하는 말이 맞는 것 같다는 것은 자기 생각이 아니라 개돼지의 생각”이라고 발언해 논란이 제기됐다.
논란이 일자 정 대표는 지난 4일 당 윤리감찰단에 최 전 원장에 대한 긴급 진상조사를 지시했다. 그러자 최 전 원장은 지난 7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민주당 교육연수원장직에서 물러나고자 한다”며 “저로 인해 많은 부담과 상처를 느끼신 분들에 대한 최소한의 도리”라고 게시글을 작성 후 직에서 물러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