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이 이재명 대통령에 바이오 스타트업 육성을 위해 금산분리 제도의 완화 필요성을 강조했다. 대기업이 후배 창업기업(스타트업)을 키울 수 있는 제도적 지원 필요성도 제안했다.
서 회장은 10일 서울 마포구 프론트원에서 열린 국민성장펀드 보고대회에서 “대기업 회장이 아니라 25년 전 직원 6명이 5000만원으로 시작했던 선배 벤처기업가의 입장에서 말씀드린다”며 이 대통령에 금산분리 제도 완화를 주문했다.
서 회장은 “2000년 창업 이후 2009년까지 국내에선 투자받기 어려웠다. 싱가포르 정부는 8000억원을 투자하자 JP모건이 5000억원을 추가로 투자했다. 이렇게 1조3000억원을 받으면 실패하는 기업은 없다”며 “바이오 분야 기초연구 성공 확률은 1% 수준으로, 이를 키워내는 곳이 스타트업이고 여기에 자금을 대는 것이 벤처캐피털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모태펀드가 2005년 출범해 지난해 4조원을 집행했는데 이를 더 키워줘야 기초연구 씨앗이 마르지 않고 이어질 수 있다”면서 “기초연구 이후 후속 지원이 끊기면 결국 말라 죽는다. 금융권의 인베스트뱅크 역할을 강화하고, 인큐베이팅 자금을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 회장은 대기업의 역할에 대해서도 피력했다. 그는 “대기업이 후배 스타트업을 키우는 것이 성공 확률이 가장 높다. 대기업은 망할 기업에는 투자하지 않는다”라며 “여기에 금융기관과 정부 펀드가 함께 참여하면 성공 가능성이 커진다”고 제언했다.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책으로는 금산분리 제도 개선 필요성을 거듭 언급했다. 그는 “금산분리 제도는 오래된 숙제”라며 “대기업이 직접 투자하지 않더라도 ‘코GP(Co-General Partner)’만 허용해 주면 현재 5000억원 규모 펀드를 1조원까지 확대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대기업이 투자하면 크레딧이 생겨 다른 투자자도 따라온다”며 “대기업·금융기관·정부가 함께 후배 기업을 키운다면 대통령께서 말씀하신 대로 어려운 상황에서도 새로운 출발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