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상계엄 선포 당일 서울시 청사 폐쇄 여부를 둘러싸고 서울시와 더불어민주당 간 갈등이 이어지고 있다. 민주당은 서울시가 청사를 폐쇄해 계엄에 동조했다고 주장하고, 서울시는 사실무근이라며 정면 반박하고 있다.
논란은 지난달 25일 시작됐다. 김병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2월3일 비상계엄 선포 직후 서울시가 청사 출입문을 폐쇄하고 비상대책회의를 열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지자체장 역시 계엄 선포에 동조한 것이 아닌지 수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김병민 서울시 정무부시장은 같은 날 입장문을 내고 “서울시는 청사를 폐쇄한 적이 없다”며 “내규에 따라 심야에는 출입을 제한하고 있으며, 출입증을 소지한 경우에는 출입이 가능하다”고 반박했다. 그는 “민주당은 정확한 사실 확인도 하지 않은 채 가짜뉴스를 퍼뜨리고 있다”고 했다.
갈등은 이어졌다. 지난달 31일 전현희 민주당 의원은 “지자체 내란 가담 행적을 반드시 밝혀야 한다”며 “오세훈 서울시장 등 광역 지자체장이 계엄 당일 청사 출입을 통제하고 비상간부회의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주장했다.
김 부시장은 다시 입장문을 내고 “오 시장은 시민 일상을 지키기 위해 비상간부회의를 소집했으며, 계엄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즉각 발표했다”며 “서울시가 계엄에 동조하지 않았다는 점을 분명히 밝혔음에도 허위사실을 전파한 전 의원은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맞섰다.
최근까지도 공방은 이어지고 있다. 민주당은 서울시가 계엄 선포 당일 행정안전부 지시에 따라 청사 출입을 통제하라는 내용을 자치구 등에 전달했다고 주장한다. 민주당은 “서울시는 지난해 12월4일 0시8분 산하기관과 자치구에 행안부 지시 사항을 알렸는데, 이는 행안부가 지시한 시각보다 약 40분 앞선 것”이라며 행안부 감찰을 촉구했다.
서울시는 이를 부인했다. 이민경 시 대변인은 입장문에서 “서울시는 12월3일 23시25분 행안부로부터 전화로 지시 사항을 전달받았고, 당직 연동시스템을 통해 자치구 등에 알린 것”이라며 “행안부 지시를 앞서 전달했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