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시할 수 없는 외국인…저축은행도 공략 확대

무시할 수 없는 외국인…저축은행도 공략 확대

기사승인 2025-09-17 06:00:23
저축은행중앙회 제공

국내 체류·거주 외국인 수가 꾸준히 늘면서 저축은행업계가 외국인 고객 유치에 시동을 걸고 있다. 틈새시장을 공략해 활로를 모색하겠다는 전략이지만, 시중은행과의 차별화를 어떻게 이끌어낼지가 핵심 과제로 꼽힌다.

17일 출입국·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24년 말 국내 체류 외국인은 265만명으로 전체 인구(약 5122만명)의 5.17%를 차지했다. 체류 외국인은 △2021년 196만명 △2022년 225만명 △2023년 251만명으로 해마다 증가세를 이어왔다. 이 가운데 91일 이상 거주한 15세 이상 상주 외국인은 156만1000명으로 전년보다 9.1%(13만 명) 늘었으며, 취업자는 107만1000명으로 집계돼 경제활동참여율 68.6%를 기록,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소득 수준도 오름세다. 월평균 임금 300만원 이상 외국인 근로자 비율은 2017년 10.4%에서 2024년 37.1%로, 200만원 이상은 같은 기간 57.3%에서 88.3%로 증가했다. 금융기관 이용 비중은 아직 크지 않지만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경제력과 구매력이 빠르게 향상되면서 내수 시장의 주요 축으로 자리 잡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 같은 변화에 발맞춰 저축은행들도 외국인 전용 상품을 속속 내놓고 있다. 웰컴저축은행은 최근 ‘웰컴 외국인 올인원 체크카드’를 출시했다. 대중교통 후불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결제 금액과 계좌 월평균 잔액에 따라 최대 1% 캐시백 혜택을 제공한다. 연체 우려가 상대적으로 높은 외국인 고객에게 후불 교통 기능을 지원한 점에서 차별화됐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앞서 이 회사는 외국인 전용 입출금 자유예금 상품 ‘웰컴 외국인 올인원통장’도 내놓은 바 있다.

대출 상품도 잇따르고 있다. 업계 자산 규모 2위인 OK저축은행은 지난해 4월 E-9(비전문취업) 비자 소지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신용대출 상품 ‘Hi-OK론’을 내놨으며, 회사 측은 “현재까지 꾸준한 수요가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KB저축은행의 ‘키위 드림 론(kiwi Dream Loan)’을 비롯해 다올·대신·세람·예가람저축은행 등도 외국인 근로자를 겨냥한 대출 상품을 운영 중이다.

그러나 시장 공략이 쉽지만은 않다. 1금융권 역시 외국인 고객 선점을 위해 경쟁에 뛰어든 상황으로, 특히 은행들은 점포 축소 기조 속에서도 외국인 특화 점포를 늘리며 대응하고 있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7월 말 기준 외국인 특화 점포는 총 37곳으로, 하나은행(16곳), KB국민은행(8곳), 우리은행(5곳), 전북은행(4곳), 신한은행(2곳), 광주은행·IBK기업은행(각 1곳)이 운영 중이다. 이들 점포에서는 일요일 영업, 다국어 상담·통번역, 계좌 개설, 해외 송금·환전, 카드 발급, 수수료 우대 및 전용 상품 가입 등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올해 안에 40곳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그럼에도 저축은행들은 성장하는 시장을 간과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업계 관계자는 “저축은행은 예금 금리 등 일부 영역에서 경쟁력이 있다”며 “외국인 고객 비중은 아직 크지 않지만 장기적으로는 공략해야 할 시장이라는 인식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은행과의 격차를 좁히기 위해 실질적인 차별화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예금 금리 우대, 간소화된 대출 절차, 신속한 서비스 제공 등이 대표적인 대안으로 꼽힌다. 최철 숙명여대 소비자경제학과 교수는 “은행보다 절차가 덜 까다롭고 합리적인 금리에 외국환 연계 서비스까지 결합된다면 외국인 고객이 저축은행을 선택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고 설명했다.
김미현 기자
mhyunk@kukinews.com
김미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