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임시술 2년 새 30% 늘었는데…“난임부부 심리상담 사각지대”

난임시술 2년 새 30% 늘었는데…“난임부부 심리상담 사각지대”

우울증 상담센터 8개 시·도에만 설치
“상담센터 인프라, 수요에 한참 못 미쳐”

기사승인 2025-09-18 14:52:16
쿠키뉴스 자료사진. 그래픽=한지영 디자이너

하루 평균 난임시술이 600건에 달하는데 반해 우울증 상담센터는 8개 시·도에만 있어 난임부부의 우울·불안 문제를 해소하는 데 역부족이란 지적이 나왔다.

1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서영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난임 시술 환자와 시술 건수가 최근 2년 새 30%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환자 수는 지난 2022년 14만2572명에서 2024년 16만1083명으로 1만8511명 늘었다. 같은 기간 난임 시술 건수도 20만1611건에서 25만9740건으로 5만8129건 증가했으며, 등록 부부 수도 7만7904쌍에서 9만373쌍으로 1만2469쌍 늘었다.

연령대별로 보면 35세에서 39세 여성 환자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40세 이상 남성 환자는 지난 2022년 2만4979명에서 2024년 2만8402명으로 약 1.14배로 늘었다. 40세 이상 여성 환자도 2만1563명에서 2만4928명으로 증가하는 등 고령층 난임 수요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이에 비해 난임 우울증 상담센터는 현재 중앙상담센터 1개소와 권역 상담센터 11개소가 설치·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권역별 편차가 크고 대면 상담보다 전화·온라인 상담 비중이 높아 지역별 접근성은 여전히 낮은 실정이다.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상담센터가 설치된 지역은 8곳에 불과하다.

서 의원은 “난임은 신체적 치료뿐 아니라 심리적 회복이 반드시 병행돼야 하는 영역임에도 현재 상담센터 인프라는 수요에 한참 못 미친다”며 “고령 임신과 반복 실패로 인한 난임 부부의 우울·불안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가 책임지고 지원해야 할 사회적 과제다”라고 말했다. 이어 “복지부는 센터 확충과 전문 인력 배치, 상담 접근성 제고를 위한 예산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정부가 지난 16일 발표한 123대 국정과제에는 난임·임산부 심리 상담센터 설치 지원 방안이 포함돼 있다. 구체적으로 매년 최소 2개소 이상을 추가 설치하고, 2026년까지 신규 센터를 공모·선정하겠다는 계획을 제시했다.
신대현 기자
sdh3698@kukinews.com
신대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