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초·동작·일산에서도 KT 소액결제…“강력한 제재 필요”

서초·동작·일산에서도 KT 소액결제…“강력한 제재 필요”

사건 직후 피해 없다고 했는데…1차 집계서 764건 피해
5일부터 26일까지 연쇄 피해…KT 대처에 與 질타

기사승인 2025-09-21 13:41:12 업데이트 2025-09-21 14:25:55
구재형 KT 네트워크기술본부장이 11일 KT 광화문 West 사옥에서 이뤄진 기자회견에서 불법 초소형 기지국 관련 답변을 하고 있다. 정우진 기자

‘KT 무단 결제’ 피해가 알려진 것 보다 더 크게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여권은 피해를 축소 발표한 KT 측에 대해 강한 제재가 이뤄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21일 황정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확보한 자료에 따르면 KT 무단 결제 피해는 서울 서남권과 경기 일부 지역을 넘어 서울 동작구와 서초구, 고양시 일산동구 등에서도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 내역을 살펴보면 지난 5일부터 8일까지 서울 동작구와 관악구, 영등포구에서 15명이 962만원을 무단 결제 당했다. 이후 8일과 11일 서울 서초구에서 6차례에 걸쳐 3명이 227만원의 피해를 봤다.

그뿐만 아니라 지난 12일부터 13일 경기 광명시, 15일 서울 금천구, 20일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21일 경기 과천시에서 같은 방식으로 무단 소액 결제가 이어졌다. 이후 26일에도 비슷한 지역을 대상으로 재차 범행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정치권은 피해를 축소하려는 KT를 향해 날 선 반응을 보였다. 황 의원은 “범행 지역과 시기에 대한 정보를 빨리 공개했다면 수사에 도움이 됐을 것”이라며 “사건이 밝혀질수록 KT 측이 거짓 변명만 내놓는 상황이다. SKT 해킹 사태 때 보다 더 강한 제재와 피해보상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KT는 무단 결제 사건이 발생한 직후 피해가 없다고 발표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피해 규모가 1차 집계 기준 764건까지 늘어났다. 

이에 KT 측이 자동응답전화(ARS)로 벌어진 피해에 국한해 소극적 대응을 했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사실상 개인정보 등을 이용해 인증하거나 SNS 등에 로그인하는 시도 등은 집계되지 않는 셈이다.

임현범 기자
limhb90@kukinews.com
임현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