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 연휴 앞두고 “아이들 위한 편의점 안전상비약, 더 늘려야”

긴 연휴 앞두고 “아이들 위한 편의점 안전상비약, 더 늘려야”

기사승인 2025-09-22 11:08:16 업데이트 2025-09-22 11:08:32
서울시내 한 편의점에 마련된 안전상비약 코너. 이찬종 기자

편의점 안전상비약 중 소아용 의약품의 품목을 늘려야 한다는 요구가 담긴 설문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시민단체 안전상비약 시민네트워크는 ‘편의점 안전상비약 제도 개선을 위한 소비자 인식조사’ 결과를 22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2025년 8월 18~25일 전국 1087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명절마다 반복되는 상비약 품절·구매 불편 해소와 제도 개선 논의를 이끌기 위해 마련됐다.

조사 결과, 품목 확대 필요성에 동의한 응답자는 85.4%로 2년 전 진행한 설문조사 답변(62.1%)보다 크게 늘었다. 공급이 불안한 품목인 어린이용 타이레놀 80mg과 타이레놀 160mg에 대한 교체 필요성을 포함하면 94.7%가 현행 11종(4개 효능군)보다 품목 확대나 교체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응답자들은 “동일 품목을 13년째 고정해 국민 선택권과 품목 경쟁을 제한한다”며 복지부 주도의 정기적 재검토와 교체, 제품 다양화를 요구했다.

구체적 개선 방향으로는 ‘새 효능군 추가’(46.7%)와 ‘증상별 세분화’(44.0%)가 가장 많이 꼽혔다. 세부적으로는 △소아용 전용약(22.3%) △증상별 진통제(21.0%) △증상별 감기약(20.5%) 순이었다. 

소비자들은 품목 확대의 전제 조건으로 ‘부작용이 적고 안전성이 높은 품목’(64.3%), ‘오남용 위험이 낮은 품목’(51.7%)을 가장 많이 꼽았다. 또 75% 이상이 “표시된 복용법·성분·효능 정보를 근거로 스스로 안전하게 복용할 수 있다”고 답해, 국민의 안전상비약 이용 역량이 높아졌음을 보여줬다.

안혜리 소비자공익네트워크 사무국장은 “응답자의 39.7%가 법 개정을 통해서라도 20개 이상으로 품목을 늘려야 한다고 답했다”며 “소비자는 단순 편의가 아니라 안전성을 전제로 한 확대를 원한다”고 강조했다.

김연화 안전상비약 시민네트워크 위원장은 “복지부와 약사회가 13년째 제도 개선을 미루고 있다”며 “이번 조사 결과가 정부와 전문가 논의의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주열 남서울대 교수는 “공휴일·심야시간 응급약을 구하지 못하는 사례가 여전히 많다”며 “복지부와 약사회는 국민 불편 해소를 위해 편의점 상비약 확대 논의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찬종 기자
hustlelee@kukinew.com
이찬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