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이 5년 8개월 만에 ‘장외투쟁’을 선언하고, 서울과 대구에서 이재명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에 맞섰다. 반면 대전과 부산에서는 민생과 정책 메시지에 집중했다. 정치권에서는 야당이 여론을 고려해 차별화 전략을 사용했다고 평가했다.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는 24일 대전시 유성구에 들러 국립대전현충원 참배 후 이 대통령의 ‘E(교류)·N(관계 정상화)·D(비핵화) 이니셔티브’에 대해 “현충원에 자주 왔지만, 이번처럼 마음이 무거웠던 적이 없다”며 “END 이니셔티브는 진보 정부에서 여러 번 시도했다가 실패한 정책”이라고 짚었다. ‘E.N.D. 이니셔티브’란 교류(Exchange), 관계 정상화(Normalization), 비핵화(Denuclearization)를 연결한 단계적 한반도 평화 구축 방안이다.
그는 방명록에 ‘임중도원(任重道遠·맡겨진 일은 무겁고 길은 멀다). 대한민국 체제수호, 굳건한 한미동맹’이라는 글을 남겼다. 이후 나노·반도체 국가산업단지 현장을 방문하고, R&D 관련 간담회와 대전 청년 간담회 등 정책·민심 행보에 돌입했다.
장 대표의 대전 행보는 지난 15일 부산 현장방문과 유사하다. 그는 “부산의 도약을 위해서는 해양수산부의 물리·제도·기능적 이전이 추진돼야 한다”며 “산업은행 이전을 포함해 부산신항과 가덕도 신공항 등 인프라를 뒷받침해야 글로벌 허브도시 부산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부산 청년 간담회’에서 “지역에서 정착하고 싶어도 좋은 일자리가 없고, 월급도 그대로다. 물가와 집값은 오르는데 현실은 어려운 상황”이라며 “(청년들은) 정치가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당부를 남겼다”고 밝혔다.

반면 서울과 대구에서는 ‘장외투쟁’을 내걸고 이재명 정부와 민주당에 대한 투쟁을 선포했다. 국민의힘은 오는 28일 서울에서 이재명 정부와 민주당에 맞설 계획이다. 이들은 공지를 통해 시청역 8번 출구에서 ‘야당탄압·독재정치 국민 규탄대회’를 개최하겠다고 예고했다.
중앙당은 각 시도당에 행사 참여를 독려했다. 수도권 당협은 200명, 비수도권 당협은 100명 이상 참석을 당부했다. 규탄대회에는 국회의원과 기초의원, 원외당협위원장, 당직자 등이 참석한다.
장 대표는 지난 21일 동대구역 광장에서 “백 년간 쌓은 자유와 번영이 100일만에 무너져서 인맥 독재의 암흑이 몰려오는 중”이라며 “지금의 대한민국은 이재명 대통령 단 한 사람을 위한 나라가 됐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정치 특검은 굶주린 하이에나처럼 닥치는 대로 집어삼키고 있다”며 “정치폭력은 일상화됐고, 대법원장까지 제거하겠다는 정치공작을 감행한다”고 소리 높였다.
전문가는 국민의힘이 전략적으로 장외투쟁 지역을 선택했다고 분석했다. 부산과 대전에서 민생, 정책에 신경 쓰는 것도 여론을 의식한 행보라고 평가했다.
김철현 정치평론가는 이날 쿠키뉴스와 통화에서 “장외투쟁은 여론이 받쳐줘야 하는데 다른 지역은 장담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서울과 대구에서 장외투쟁을 하는 것은 전략적인 선택”이라며 “대전과 부산 등 여론이 악화한 지역은 정책에 집중해서 존재감을 이어가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너무 정치 이슈에만 파묻혔다는 비판을 피하는 명분도 있다. 이재명 정부와 여당의 공세를 완화하기 위한 의지 표시”라며 “무리한 장외투쟁은 오히려 독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