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정부 의료개혁 추진에 따른 의료대란 사태 이후 지역 병원 교수 인력이 10%가량 유출돼 지방 의료 현장의 인력난이 심화되고 있다.
15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 참고인으로 나온 양동헌 경북대병원장은 “지역 의과대학생과 교수들이 모두 수도권으로 유출돼 사람 뽑기가 어렵다”며 전공의 인력 배정 재조정과 교수 충원 등을 요구했다.
경북은 인구 10만 명당 의사 수가 전국 최하위로, 의정 갈등 이후 상황이 더 악화됐다. 수도권과 지역 의대생 비율은 1대 2지만, 수련환경이나 정주 여건 문제 등으로 졸업 후 전공의 모집률이 지역은 수도권보다 10~20% 떨어진다. 소아청소년과, 산부인과 등 필수진료과는 30~40%까지 격차가 벌어진다.
양 원장은 “지난 3년 사이 우리 교수 인력의 10% 정도가 유출됐고, 이를 메우기 위해 다른 지역의 사립대병원 교수들이 와 의료인력난 지역끼리 경쟁을 하는 어려움이 생겼다”며 “특히 의료사태로 인해 전공의와 학생들이 복귀한 시점이 다양해 이들이 계속 분산돼서 배출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렇게 분산돼서 나오면 의료 일정성이 떨어질 수 있어 이들이 빨리 전공의, 인턴, 국가고시 등에 포함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면서 “전공의 배정 인력을 학생 비율에 맞춰 재조정하고, 우수한 전공의 육성을 위한 교수 충원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정부는 지역 국립대병원 육성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했다.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지역의료 인력에 대한 제언을 충분히 검토하고, 지역필수의료법이 통과되면 특별회계를 확보해 국립대병원을 중심으로 한 지역별 네트워크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