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25개 자치구 가운데 절반 이상에서 전동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장치(PM) 주차장이 5곳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용 주차장 자체가 아예 없는 자치구도 있었다. 전기자전거를 비롯한 PM 이용이 급증하고 있는데도 이를 수용할 주차 공간은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정준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서울 내 PM 전용 주차장은 총 329곳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전체 자치구 중 절반이 넘는 14개 구에는 전용 주차장이 5곳 이하로, 광진구·중랑구·서대문구엔 1곳씩만 설치돼 있었다. 특히 영등포구에는 PM 주차장이 단 한 곳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난 6월 기준 민간 공유형 이동 수단 사업자가 운영 중인 전동킥보드·전기자전거 등 PM 은 총 6만3997대(전동킥보드 2만2576대, 전기자전거 4만1421대)에 달했다. 이에 따른 민원 접수 건수도 2021년 3만715건에서 2024년 18만1515건으로 약 6배 급증했다. 민원 대부분은 PM의 무단 방치나 불법 주정차 관련 내용이었다.
서울시는 “자치구별 필요에 따라 PM 주차장을 신규 설치·운영하고 있으며 현재 기준 확정된 계획은 별도로 없다”면서 “민간사업자의 주차장 설치 의무나 관리 책임, 패널티 부과 등 관련 규정은 마련돼 있지 않다”고 밝혔다.
이런 와중에도 PM 주차장 신규 설치 규모는 오히려 줄어드는 추세다. 시가 2022년부터 설치해 온 전용 주차장은 △2022년 190곳 △2023년 93곳 △2024년 60곳으로 감소했다. 연도별 예산 집행액도 같은 기간 약 2억원에서 6800만원으로 축소됐다.
정준호 의원은 “개인형 이동장치 이용이 일상화된 만큼, 안전하고 체계적인 이용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관련 인프라 확충과 제도 정비가 시급하다”며 “질서 있는 이동 수단 문화가 자리 잡을 수 있도록 국토교통위원으로서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정 의원은 지난 5월 전동킥보드 등 PM 대여사업 등록제를 도입하는 내용의 ‘개인형 이동 수단의 안전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안’을 대표로 발의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