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 확보와 품질 개선을 위해 잠시 멈췄던 한강버스가 약 한 달간의 점검을 마치고 운항을 재개한다.
서울시는 다음달 1일 오전 9시부터 한강버스 운항을 재개할 예정이라고 27일 밝혔다.
지난 한 달간 한강버스는 △데이터 축적 △성능 안정화 △운항 인력의 업무 숙련도 향상 등을 위해 승객 미탑승 상태로 성능 안정화 시범 운항을 진행했다. 해당 기간 약 300회 이상의 반복 운항을 실시하며 선착장 접·이안, 교각 통과 등 실제 운항 여건과 동일한 훈련을 거쳤다. 이를 통해 선박의 안전성 및 서비스 품질 보강을 완료했다고 시는 밝혔다.
운항이 재개되면 당초 정식 운항 시간보다 2시간 이른 오전 9시에 운항을 시작한다. 오후 9시37분(도착지 기준)까지 주중·주말 1시간 30분 간격으로 하루 16회 운항할 방침이다.
또한 항차 별 2척의 선박을 배치해 지난 정식 운항 초기에 발생했던 결항 상황을 방지한다. 기존에는 운항 직전 선박 이상 발생 시 결항이 불가피했지만, 예비선을 상시 배정해 결항을 없애고 탑승객 불편을 최소화한다.
한강버스는 동절기 기상과 운항 환경 변화·적응을 고려해 내년 3월까지 하루 16회 운항 일정을 유지할 예정이다. 내년 3월부터는 출퇴근 급행 노선(15분 간격) 포함 오전 7시~오후 10시30분, 총 32회로 운항을 확대할 계획이다.
노선은 마곡에서 잠실까지 총 7개 선착장(마곡-망원-여의도-압구정-옥수-뚝섬-잠실)을 오간다. 요금은 편도 기준 성인 3000원(청소년 1800원/어린이 1100원)이다. 지난 8월부터 선착장 연계를 위해 연장·신설된 시내버스도 정상 운행 중이다.
대중교통 환승 할인 또한 적용된다. 5000원이 추가된 기후동행카드 ‘한강버스 권종’을 별도로 충전해 사용하면 무제한으로 탑승할 수 있다.
실시간 운항 시간표, 잔여 좌석 수 등 운항 정보와 기상 상황에 따른 선박 결항 정보는 주요 모빌리티 앱(네이버 지도·카카오맵)에서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다.
박진영 서울시 미래한강본부장은 “한 달여간의 안정화 운항을 통해 선박 안전과 서비스 품질 보강을 완료했다”며 “앞으로도 서울시는 서비스 품질 향상과 안전성 제고에 최선을 다해 한강버스가 시민께 더 신뢰받는 수상 대중교통수단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