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핼러윈을 하루 앞두고 서울시와 자치구가 안전 관리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감사원이 최근 ‘10·29 이태원 참사’의 원인으로 지자체의 재난 대응 역량 부족을 지적한 가운데, 서울시는 홍대·이태원·성수 등 인파 밀집 지역 14곳을 대상으로 특별 안전대책을 가동하며 예방 중심의 대응에 나섰다.
감사원이 23일 공개한 ‘재난 및 안전 관리 체계 점검’ 감사 보고서에 따르면, 용산구를 비롯한 지방자치단체의 재난 대비·대응 현장 역량이 전반적으로 미흡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참사 당시 용산구에 대해 “2022년 이태원 방문자 폭증을 사전 예측하고도 안전 관리 계획을 수립하지 않았으며, 사고 발생 직전에도 현장 순찰이나 재난 정보 수집 등에 대한 지시는 없었다”고 지적했다.
“지자체 대응 미흡”…감사원, 안전 관리 체계 전반 지적
감사원은 경찰·소방·보건소·행정안전부 등 유관 기관 전반에서 드러난 총체적 대응 부실도 문제로 꼽았다. 제도가 갖춰져 있는데도 비체계적인 인력 관리, 형식화된 매뉴얼·교육·훈련이 지자체의 대응 역량을 떨어뜨렸다는 분석이다. 감사원은 “행안부에 종합 대책 마련을 통보했다”며 “재난 대응의 1차 기관인 지자체의 전문성과 대응 능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서울시는 지난 24일부터 다음달 2일까지를 ‘핼러윈 중점 안전 관리 기간’으로 정하고, 홍대·이태원·성수 등 주요 밀집 지역 14곳을 대상으로 특별 안전대책을 시행 중이다. 행안부·자치구·경찰·소방과 협력해 △사전 점검 △현장 순찰 △실시간 모니터링 △인파 분산 등을 추진하고 있다.
시는 이태원 관광특구, 홍대·성수 카페거리, 건대 맛의 거리, 강남역, 압구정 로데오거리, 명동거리, 익선동, 왕십리역, 신촌 연세로, 발산역, 신림역, 샤로수길, 논현역 등 14곳을 중점 관리 지역으로 지정했다. 시 관계자는 “지역별 여건과 특성을 반영해 예측·예방 중심의 맞춤형 안전 관리를 추진할 계획”이라며 “비상대응체계를 유지해 안전사고를 사전에 차단하고 시민 안전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강남구는 재난지휘차량을 활용해 강남역에 현장상황실을 설치했다. 7개 부서 2인 1조 순찰조를 운영하며, 44곳에 설치된 120대의 지능형 폐쇄회로(CC)TV로 인파를 실시간 모니터링한다.
마포구는 홍대 레드로드 일대에 다중 운집이 예상돼 안전 관리 전담반을 꾸리고, 현장상황실을 설치해 경찰·소방 등과 합동으로 단계별 인파 관리와 교통 통제를 진행한다. 같은 기간 구청 공무원 226명, 안전요원 120명, 민간단체 270명도 현장에 투입된다.
전문가들은 주최자가 없더라도 인파 밀집이 예상된다면 지자체의 선제적 관리 체계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한다.
감사원은 보고서에서 “이태원 참사 당시 주최자가 없는 경우 안전사고 예방에 적용할 매뉴얼이 부재했다”며 “경찰 또한 해당 행사를 ‘다중운집행사 매뉴얼’ 적용 대상이 아니라고 판단해 혼잡 경비를 담당하는 기동대를 배치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창우 숭실사이버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주최자가 있는 행사는 안전 관리 계획이 확실히 수립돼 있고, 심의 단계에서도 대책이 갖춰져야 통과된다”며 “주최자 없이 사람들이 모이는 경우 사고 가능성이 높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인파 밀집이 충분히 예측 가능한 상황이라면 자치구·소방·경찰이 협력해 비상 관리 체계를 가동해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