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NK금융지주를 둘러싼 도이치모터스 특혜대출과 불투명한 회장추천위원회(회추위) 운영 및 이사회 인선 의혹 등이 확산하면서 파장이 인다.
민주당 민홍철·김정호·김태선·김상욱·허성무 국회의원은 지난 29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BNK 금융지주 빈대인 회장과 방성빈 부산은행장은 김건희와 연계된 도이치모터스·도이치파이낸셜 계열사에 100억 원대 무담보 신용대출을 제공한 의혹의 핵심 당사자들"이라며 사퇴를 촉구했다.
의원들은 "빈 회장은 윤석열 정부 인수위원으로 활동했던 인물로, 정치권과의 연결 고리를 통해 금융권 인사에 영향을 미쳤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 지방선거에서는 국민의힘 부산 남구청장 예비후보로까지 거론된 바 있다. BNK 금융 회장 자리가 특정 정치세력의 영향력 아래 놓였다는 의혹이 점점 커지고 있다"고 했다.
또 "BNK 금융 차기회장 선임 과정에서 회추위는 비공개·졸속으로 절차를 진행하고 제한된 후보등록 기간을 운영하는 등 절차적 투명성과 공정성을 현저히 결여했다"며 "빈 회장이 자신의 측근 위주로 사외이사를 포진시켜 이사회를 방어막으로 활용한 이른바 사외이사 '참호 구축' 논란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의원들은 "BNK 사태의 본질은 관치가 아니라 감독의 부재"라며 "지금 필요한 것은 감독당국이 법에 따라 제 역할을 다하는 것이다. 투명한 금융감독은 정치적 간섭이 아니라, 헌법과 법률이 정한 공적 의무이며, 부패와 불투명한 인선에 침묵하는 것이야말로 진짜 관치이자 직무유기"라고 강조했다.
이어 "사외이사 독립성 훼손 의혹 등은 지역금융의 공공성에 정면으로 반한다"며 "빈 회장은 회추위 위원들에게 불공정하고 폐쇄적인 절차를 사전 지시해 실행하게 해놓고, 국감에서 지적받자 이를 '실무자의 실수'로 돌리며 여론을 호도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BNK금융 이사회와 금융당국에 핵심 인사 사퇴, BNK금융 회장 선임 절차에 대한 전면 조사 및 수시 검사 즉각 착수, 도이치모터스 관련 대출에 대한 조사 착수, 회장추천위 독립성 및 이해상충행위 조사 착수, 투명한 방식으로 회장 선임절차 재추진 등을 주문했다.
그러면서 "실질적 조치가 없다면 국회 차원의 청문회 개최, 감사원 감사 요청, 수사기관 고발 등 가능한 모든 법적·제도적 수단을 총동원하겠다"고 경고했다.
앞서 이찬진 금융감독원장도 BNK금융지주 차기 회장 선임 절차에 대해 공개적으로 문제를 제기했다.
이 원장은 지난 21일 국회 정무위원회의 금감원 국정감사에 출석해 "BNK금융 차기 회장 선임 과정에서 절차적으로 특이한 면이 많아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필요 시 수시검사를 통해 문제점을 바로잡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박범계 민주당 의원이 "BNK금융 회장 후보 등록이 가능한 기간은 추석 연휴 기간을 제외하고 나흘에 불과했다"며 "직원들 사이에서 쉬쉬하며 깜깜이로 진행돼 절차적 정당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에 대해 이같이 답한 것이다.
BNK금융은 지난 1일 이사회 결의를 통해 임원추천위원회를 구성하고 차기 회장 후보군 접수를 시작, 지난 16일 접수를 마감했다. 추석 연휴가 포함돼 실질적으로 후보자들이 지원할 수 있었던 영업일은 4일에 불과했다. 빈 회장이 경쟁자를 최소화하기 위해 외부 후보군에게 불리한 일정을 짠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경영승계 절차 일정도 뒤늦게 공개했다. 보통 금융지주의 경우 회추위나 임추위가 활동을 시작하는 날 해당 내용을 공개하는데 BNK금융은 절차 시작 뒤 열흘이 지난 13일에서야 공개했다.
BNK금융 측은 현재까지 공식 해명을 내놓지 않고 있다. 금감원은 BNK금융에 대한 수시 검사 계획을 잡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파악된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BNK금융은 이르면 이번주 중 차기 회장 후보에 오를 1차 후보군을 확정하는 등 회장 선임 절차를 이어간다. 당초 차기 회장 1차 후보군을 지난주 확정할 예정이었지만 금감원이 차기 회장 선임 과정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작업이 미뤄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