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세계 최대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NVIDIA)와 손잡고 국내 제조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피지컬 AI’ 기술 개발에 나선다. AI가 산업 현장에서 직접 데이터를 학습하고 공정을 제어하는 기술로, 국가 핵심 산업 경쟁력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춘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은 경북 경주 화백컨벤션센터(HICO)에서 열린 이재명 대통령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의 회동에 참석해 “AI와 클라우드 기술을 통해 대한민국 산업이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협력은 AI 기술을 실제 산업 현장에 확산시켜 제조업 전반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이려는 전략의 일환이다.
현실과 디지털 잇는 ‘피지컬 AI 플랫폼’ 구축
네이버클라우드는 이날 엔비디아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현실의 산업 환경을 디지털 공간에 정밀하게 구현하는 ‘피지컬 AI 플랫폼’을 공동 개발하기로 했다.
이 플랫폼은 반도체, 조선, 에너지 등 주요 산업 현장을 3차원(3D) 가상공간에 복제해 AI가 공정을 분석하고 문제를 예측하도록 돕는 기술이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자체 디지털트윈·로보틱스 역량을, 엔비디아는 ‘옴니버스’와 ‘아이작 심’ 등 시뮬레이션·로봇 플랫폼을 제공해 산업 환경을 가상으로 재현하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소버린 AI 2.0”… 산업 맞춤형 AI 생태계로 확장
이번 협력은 네이버가 추진 중인 ‘소버린 AI 2.0’ 전략의 일환이다.
기존 소버린 AI가 한국어 기반 AI 모델을 중심으로 기술 자립에 초점을 맞췄다면, 소버린 AI 2.0은 이를 국가 산업 전반으로 확장해 AI 기술이 실제 제조·물류·에너지 현장에서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 목표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이를 위해 초거대 언어모델 ‘하이퍼클로바X’를 중심으로 산업별 특화 AI 모델을 개발하고, 국가 AI 프로젝트·인재 양성 프로그램 등과 연계한 개방형 협력 생태계를 조성하고 있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AI 기술이 산업 현장의 생산성과 안전, 효율을 높이는 ‘피지컬 AI 시대’의 출발점이 될 것”이라며 “하이퍼스케일 AI 인프라와 클라우드 운영 기술을 결합해 국내 제조 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