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기금이 사상 처음으로 총자산의 절반 이상을 주식에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금 고갈 시점을 늦추기 위해 안정성을 중시하던 과거의 운용 방식에서 벗어나 더 높은 수익을 추구하는 공격적인 투자 전략을 채택한 것이다.
3일 국민연금 기금운용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총 1269조1355억원에 달하는 적립금 가운데 주식(국내 및 해외)에 투자된 금액은 635조5734억원으로, 전체 자산의 50.1%를 차지했다. 이는 국민연금 기금 역사상 처음으로 주식 비중이 50%를 넘어선 기록이다.
국민연금의 자산 구성은 지난 2015년 말 기준 채권이 56.6%로 절반 이상이었고, 주식은 32.2%에 불과했으나 10년 만에 상황은 정반대가 된 것이다. 2025년 6월 현재 채권 비중은 33.0%까지 낮아졌다.
국민연금은 ‘안전한 예·적금(채권)’ 비중을 줄이고 위험하지만, 수익이 높은 ‘펀드(주식)’ 비중을 대폭 늘리고 있다. 특히 해외 주식 투자의 비중이 커졌다. 전체 주식 비중 50.1% 중 국내 주식은 14.9%(189조 원)이지만, 해외 주식은 35.2%(446조 원)로 두 배가 넘는다.
이런 변화의 가장 큰 이유는 ‘수익률’이다. 저출산·고령화로 연금을 받을 사람은 늘어나는데 보험료를 낼 사람은 줄어들면서 기금 고갈에 대한 우려가 커지자 전략에 변화를 주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기금 운용 수익률을 단 1%포인트만 높여도 기금 고갈 시점을 수년 이상 늦출 수 있다.
또 해외 주식 투자 비중을 늘리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를 들 수 있는데, 먼저 ‘위험 분산’이다. 다음으로는 국내 시장에 대한 ‘과잉 영향력’ 해소다.
국민연금은 국내 주식시장에서 ‘초대형 고래’로 불릴 만큼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해왔다. 국민연금이 특정 주식을 사고파는 것에 따라 시장 전체가 출렁일 정도였다. 해외 투자 비중을 늘리는 것은 이런 시장 왜곡을 줄이고, 동시에 더 넓은 글로벌 시장에서 새로운 수익 기회를 찾겠다는 의도로 해석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