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4일 “2026년도 정부 예산안은 AI 시대를 여는 대한민국의 첫 번째 예산”이라고 선언하며, 내년도 예산의 핵심을 ‘AI 대전환’에 맞춘 전략적 투자로 제시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국회에서 진행한 내년도 예산안 시정연설에서 “AI 사회로의 전환은 필연이며, 하루가 늦으면 한 세대가 뒤처진다”라면서 “산업화 시대의 고속도로가 있었다면, 이제는 AI 시대의 고속도로를 깔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2026년도 총지출을 올해보다 8.1% 늘어난 728조원으로 편성했다. 이 중 AI 관련 예산은 10조1000억원이다. 올해(3조3000억원)의 세 배 이상으로 대폭 확대됐다. 세부적으로는 산업·생활·공공 전 분야 AI 도입에 2조6000억원, 인재 양성과 인프라 구축에 7조5000억원을 투입한다.
이 대통령은 “피지컬 AI 선도국 달성을 위해 제조·로봇·조선·가전·반도체 등 주력 산업을 중심으로 향후 5년간 약 6조원을 투자하겠다”며 “지역 특화산업과 연계한 AI 거점을 광역별로 조성하고, 대규모 실증사업을 통해 지역 혁신을 촉진하겠다”고 밝혔다.
AI 인재 양성을 위해 고급인재 1만1000명을 배출하고, 세대별 맞춤형 교육을 통해 국민 누구나 AI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고성능 GPU 1만5000장을 추가 구매해 정부 목표인 3만5000장을 조기 확보하기로 했다.
이 대통령은 “엔비디아가 한국에 GPU 26만장을 공급하기로 한 만큼, 민간기업의 확보에도 차질이 없을 것”이라며 “AI·콘텐츠·방위산업 등 첨단전략산업 R&D 예산을 역대 최대 규모인 35조3000억원으로 확대하겠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향후 5년간 150조원 규모의 ‘국민성장펀드’를 조성해 첨단산업 육성과 함께 성장의 과실을 국민이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이 대통령은 또 “AI 시대에는 문화의 중요성도 커진다”며 K-콘텐츠 산업 육성을 위한 펀드 출자 확대(2000억원), 청년 창작자 지원, K-푸드·K-뷰티 수출 지원 강화 방안도 함께 제시했다.
국방 분야에서는 “AI 시대에 걸맞은 최첨단 무기체계로 재편해 방산 4대 강국의 발판을 마련하겠다”며 내년도 국방예산을 8.2% 증액한 66조3000억원으로 편성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 대통령은 저소득층 생계급여 인상, 장애인 일자리 확대, 재해·재난 대응 강화 등 민생안전 예산도 함께 강조하며 “AI 시대의 성장은 국민 모두가 함께 누리는 포용적 성장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그는 “이번 예산안이 법정기한 내에 통과돼 대한민국이 새로운 미래로 나아가길 바란다”며 “여야가 국민을 위한 초당적 협력에 나서달라”고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