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모건을 비롯한 해외 주요 투자은행(IB)들이 내년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높였다. 미국 관세 인상에도 반도체와 자동차를 중심으로 한 수출 증가세가 크게 꺾이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6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주요 IB 8곳이 제시한 한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지난달 말 평균 1.9%로 집계됐다.
1.6%를 예상한 뱅크오브아메리카를 제외하면 나머지 IB 7곳은 한국은행이 지난 8월 경제전망에서 제시한 내년 성장률 전망치(1.6%)보다 높은 수치를 내놨다.
특히 씨티가 기존 1.6%에서 2.2%로 전망치를 상향 조정하면서 평균치가 한 달 전인 9월 말(1.8%)보다 0.1%포인트(p) 높아졌다. JP모건과 골드만삭스도 2.2%로 나란히 2%대 성장을 예상했다.
이밖에 노무라는 1.9%, UBS는 1.8%, 바클리는 1.7% 등을 전망했다.
IB들은 우리나라 수출이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호조를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주요 IB 8곳이 제시한 내년 우리나라 GDP 대비 경상수지 비율은 9월 말 평균 4.7%에서 지난달 말 평균 5.3%로 크게 높아졌다.
골드만삭스가 6.6%에서 6.0%로 전망치를 하향 조정했지만, 씨티가 4.4%에서 7.1%로, 노무라가 3.9%에서 6.6%로 각각 상향 조정하면서 평균치가 올랐다. 미국 관세 인상에도 반도체와 자동차를 중심으로 한 수출 증가세가 크게 꺾이지 않을 것으로 본 것이다.
앞서 한은은 지난달 23일 통화정책방향 결정문에서 “내년 성장률은 지난 8월 전망(1.6%)에 대체로 부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존 한은 전망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2.2%), 국제통화기금(IMF·1.8%)보다 낮고 아시아개발은행(ADB·1.6%)과 같은 수준이다. 한은은 오는 27일 수정 경제전망을 발표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