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계 최초로 이주 없는 주거 환경 개선, 현대건설의 새로운 도전이 시작됩니다” (이형덕 현대건설 리뉴얼신사업팀장)
현대건설은 6일 서울 강남구 신사동 디에이치 갤러리에서 미디어 쇼케이스 행사를 열고 신규 사업 프로젝트 ‘더 뉴 하우스(THE NEW HOUSE)’의 추진 배경과 향후 계획을 밝혔다. 이번 사업은 업계 최초로 입주민 이주 없이 공동주택의 주거환경과 단지 가치를 향상시키는 신사업이다.
더 뉴(NEW) 하우스는 △이주 없이(No move) △간소한 절차 속에서(Easy Process) △2년 이내(Within two years)를 목표로 주거 환경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개선하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기존 리모델링 대비 비용 부담과 공기(工期)를 낮추면서 단지 환경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개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번 사업은 리모델링에 대한 끊임없는 고민 속에서 탄생했다는 설명이다. 이인기 현대건설 주택사업본부장은 “리모델링은 이주가 필요하고 공사 기간과 비용 부담도 크다. ‘계속 이렇게 해야 할까’라는 고민이 있었다”며 “이런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것이 바로 리뉴얼 신사업”이라고 말했다.
기존 리모델링과의 가장 큰 차이점은 활용되지 않던 공간의 재창조에 있다. 사용되지 않는 지하 피트 공간이나 지상의 유휴부지를 커뮤니티 시설이나 편의공간으로 재구성함으로써 주민들의 생활 만족도와 단지의 실질적인 가치를 높이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제시한다.
다만 공사가 이주 없이 진행되는 만큼 안전 우려도 제기된다. 현대건설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거주 구역과 공사 구역을 단계별로 분리 시공해 주민들이 일상생활을 유지하면서 주거 개선 작업을 병행할 계획이다. 더불어 입주민 동선을 분석해 주민들의 안전과 불편을 줄일 수 있는 최적화된 공정을 마련할 예정이다.
여기에 현대건설은 사업의 신속성을 강조했다. 이형덕 현대건설 리뉴얼신사업팀장은 “사업이 용적률 이내로 진행될 경우에는 입주자 회의 방식의 공동주택관리법에 따라 진행이 가능하다. 기존 용적률을 초과할 경우에는 조합 설립의 주택법에 따라 진행된다”며 “구조물을 철거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리뉴얼 작업이 진행돼 불필요한 절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현대건설은 1기 신도시와 지방의 2000년대 지어진 아파트를 주요 사업 대상으로 보고 있다. 대상 단지는 외관·조경 부족, 커뮤니티 시설 미흡, 첨단 시스템 부재 등 2000년대 아파트의 특징을 갖춘 곳이다. 정비사업으로는 사업성이 부족한 단지도 이번 사업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주차 공간 부족과 같은 단점은 로봇 주차 등 신기술을 활용해 해결할 계획이다.
더 뉴 하우스의 사업비 규모는 단지 조건과 공사 범위에 따라 달라진다. 아직 확정된 수치는 아니지만, 가구당 대략 1억원 미만으로 추산된다. 무엇보다 중요한 점은 이주에 따른 금융 비용이 발생하지 않으며 오로지 아파트 가치를 높이기 위한 실질적 비용만 투입된다는 점이다.
현대건설은 강남구 삼성동 ‘힐스테이트 2단지’를 더 뉴 하우스의 첫 번째 사업지로 선정했다. 회사는 해당 단지에 입주민 맞춤형 주거 서비스 ‘H 컬쳐클럽’ 등을 도입해 연내 차별화된 사업 제안을 선보일 계획이다. 두 번째 사업지로는 경기 수원시 ‘신명 동보 아파트’를 검토 중이다.
이 팀장은 “현대건설은 리뉴얼 신사업으로 업계 최초로 이주 없는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사업을 제시한 만큼, 앞으로도 주거 문화를 획기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다양한 혁신 방안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