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하루 전인 오는 12일부터 파업 가능성을 거론했던 서울 시내버스 노동조합이 수능 당일까지는 쟁의행위를 하지 않겠다고 9일 밝혔다. 이에 따라 수능날 교통대란은 일단 피하게 됐다.
서울 시내버스 노사는 이날 박점곤 서울시버스노동조합 위원장과 김정환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 이사장 공동 명의의 성명을 통해 “수능 일정에 차질이 없도록 쟁의행위를 수능일 이전까지는 진행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들은 성명에서 “시민의 교통 불편을 최소화하고, 상호 신뢰와 성실한 교섭을 통해 현안을 원만히 해결하기 위해 공동으로 입장을 밝힌다”며 “노조는 오는 13일에 추가 교섭을 진행하고, 교섭하는 날까지는 쟁의행위를 실시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노사는 지난 10월29일 선고된 동아운수 통상임금 항소심 판결을 참고해 노조의 주장에 대해 긴밀하고 심도 있게 교섭을 지속한다”며 “시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능한 한 조속한 시일 내에 2025년도 단체협약 및 임금협정 체결에 이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한다”고 덧붙였다.
서울 시내버스 노사는 통상임금 반영 방식과 임금체계 개편을 둘러싸고 6개월 넘게 임금·단체협약(임단협)을 이어왔지만 이견이 좁혀지지 않고 있다.
특히 2015년 동아운수 버스 노동자들이 상여금을 통상임금에 포함해달라며 회사를 상대로 낸 소송과 관련해 최근 2심 법원이 상여금이 통상임금에 해당한다는 노동자 측 주장을 받아들이면서 갈등이 다시 불거졌다.
그러나 같은 판결문을 두고도 노사 해석이 엇갈리면서 입장 차는 여전히 큰 상황이다.
이 가운데 노조는 사측을 압박하기 위해 수능 전날인 12일 전면 파업 가능성을 언급해왔다.
파업이 현실화될 경우 수험생과 시민의 대중교통 이용에 큰 혼란이 우려됐지만, 사측과의 집중 협의 끝에 수능 당일 파업은 하지 않겠다는 공동성명이 나오면서 최악의 상황은 피하게 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