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요 기업들의 수익성이 20년 만에 절반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기업의 수익 창출 능력이 약화되면 투자와 고용이 줄고, 경제 전반의 활력이 저하될 수 있다”며 성장 중심의 정책 전환을 촉구했다.
대한상의는 10일 ‘K성장 시리즈: 매출액 1000대 기업의 20년 수익성 추이와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2004년 상장사 1000대 기업의 총자산영업이익률이 4.2%였으나 2024년에는 2.2%로 하락했다고 밝혔다. 자산 1억원당 420만원의 영업이익을 냈던 기업이 이제는 220만원만 남기는 셈이다.
총자산영업이익률은 기업이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용해 이익을 내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대한상의는 “기업의 수익성 저하는 단기적 문제를 넘어, 성장률 둔화로 직결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주지환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경제성장은 부가가치 확대를 통해 이뤄지며, 수익성은 이를 견인하는 핵심 요인”이라며 “기업의 채산성이 악화된 만큼 기존 지원정책이 성장역량 강화에 실질적으로 기여했는지 재점검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특히 한계기업 보호 중심의 정책이 자원배분의 비효율성을 고착시키고 있다고 우려했다. 한국은행 분석에 따르면 한계기업 비중이 10% 포인트 증가하면 정상기업의 매출 증가율은 2.04% 포인트, 수익성은 0.51% 포인트 떨어진다.
곽관훈 중견기업학회 회장은 “총자산영업이익률 하락은 기업이 ‘저수익-저투자’의 악순환에 빠져 있다는 경고 신호”라며 “이익이 줄면 R&D·설비투자 여력이 떨어져 결국 국가 전체의 잠재성장률이 하락한다”고 말했다.
대한상의는 기업의 수익성과 성장을 동시에 끌어올리려면, “기업 규모에 따라 규제가 늘어나는 역진적 인센티브 구조를 개편하고, 대기업이든 중소기업이든 수익을 내는 기업에 리워드를 주는 성장친화형 정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보고서는 중소기업 상장사 중 자산수익률 상위 100개 기업이 중견기업으로 성장할 경우 약 5.4조 원의 부가가치가 추가로 창출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2024년 국내총생산(GDP)의 0.24% 수준으로, 저성장 기조 속에서도 의미 있는 성장 효과를 낼 수 있는 규모다.
이종명 대한상의 산업혁신본부장은 “수익이 줄어드는 기업을 보호하기보다 수익이 늘어나는 기업을 장려해야 한다”며 “기업이 ‘계단식 규제’로 인해 성장을 포기하는 모순이 사라지도록 정책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상의는 향후 기업 투자와 성장을 가로막는 계단식 규제를 지속 발굴해 정부에 건의하고, ‘K성장 시리즈’ 후속 보고서를 통해 성장정책 대안을 제시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