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원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출제위원장은 2026학년도 수능과 관련해 “고교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맞춰 적정 난이도 문항을 고르게 출제했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13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교육과정에서 핵심적이고 기본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출제해 고등학교 교육의 정상화에 도움이 되고자 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번 수능에도 ‘킬러문항’(초고난도 문항) 배제 기조가 유지됐다. 김 위원장은 “사교육에서 문제풀이 기술을 익히고 반복적으로 훈련한 학생에게 유리한 문항을 배제했다”며 “공교육 과정에서 다루는 내용만으로도 변별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적정 난이도 문항을 고르게 출제했다”고 설명했다.
또 “선택과목이 있는 영역에서는 과목별 난이도 균형이 이뤄지도록 출제해 과목 선택에 따른 유불리 가능성을 최소화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국어와 영어에서는 출제 범위 안에서 다양한 소재의 지문과 자료를 활용했고, 수학과 탐구, 제2외국어/한문은 교과 특성을 바탕으로 한 사고력 중심 평가를 지향했다고 밝혔다.
필수 응시 과목인 한국사는 우리 역사에 대한 기본 소양을 평가하기 위해 핵심 내용을 중심으로 평이하게 출제됐다고 덧붙였다.
EBS 수능 교재 및 강의와의 연계율은 문항 수 기준 50% 수준이며, 특히 영어의 연계 문항은 모두 EBS 교재의 지문과 주제·소재·요지가 유사한 다른 지문 등을 활용하는 간접 연계 방식으로 출제했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