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전 금융권 가계대출이 전월에 비해 4조8000억원 증가했다. 특히 제2금융권 대출과 신용대출이 큰 폭으로 확대됐다. 정부는 연말 주택담보대출이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가계부채 증가 추이를 면밀히 살피겠다는 방침이다.
금융위원회는 13일 신진창 사무처장 주재로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기관 합동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회의에는 기획재정부, 행정안전부, 국토교통부,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등 관계기관과 은행연합회, 제2금융권 협회, 5대 시중은행 등이 참석했다.
금융위에 따르면 지난 10월 금융권 가계대출은 4조8000억원 늘었다. 전월(1조1000억원) 대비 증가폭이 확대됐다. 제 2금융권 대출이 전월 대비 증가세로 전환됐다. 10월중 중도금 대출을 실행한 분양사업장이 증가하면서 집단대출이 일시적으로 증가한 영향이다.
주택담보대출은 3조2000억원 증가해 전월(3조5000원) 대비 증가폭이 둔화됐다. 은행권(2조5000억원→2조1000억원)에서는 증가폭이 축소됐다. 제2금융권(1조1000억원→1조1000억원)에서는 전월과 유사한 증가폭을 유지했다. 기타대출은 1조6000억원 늘어 전월 2조4000억원 감소에서 증가세로 전환됐다. 신용대출이 직전달 1조6000원 감소에서 9000억원 증가세로 전환된 점 등에서 기인한다.
업권별로 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은 3조5000억원 늘었다. 전월(1조9000억원) 대비 증가폭이 확대됐다. 은행 자체 주담대(1조4000억원→1조1000원)와 정책성대출(1조원→9000억원)은 증가폭이 전월 대비 축소됐다. 기타대출은 전월 5000억원 감소에서 1조4000억원 증가세로 전환됐다.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지난달 1조3000억원 증가해 전월(-8000억원) 대비 증가세로 전환됐다. 보험이 같은 기간 -3000억원에서 1000억원으로, 여전사가 -1조1000억원에서 2000억원으로 각각 확대됐다. 상호금융은 1조원에서 1조1000억원으로 확대됐고, 저축은행은 -5000억원에서 -2000억원으로 축소됐다.
이날 가계부채 점검회의에는 기획재정부, 행정안전부, 국토교통부,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등 관계기관과 은행연합회, 제2금융권 협회, 5대 시중은행 등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10월중 가계대출이 전월 대비 증가했으나 가계대출이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평가했다. 중도금 대출은 대출약정 체결 당시부터 실행 일정이 결정됐던 물량이며, 은행권 일반 주담대 증가폭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점 등을 감안했다.
신진창 사무처장은 “금융권 가계대출은 총량목표 범위 내에서 원활히 관리되고 있으나, 10.15대책 이전 주택거래량 증가에 따라 연말 주담대가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통상 11월은 가계대출 증가세가 확대되는 시기인 만큼, 향후 가계부채 추이를 면밀하게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또 신 사무처장은 지난 7~10월 은행권 사업자대출 용도 외 유용 실태 위반 사례가 45건 이상 발생됐다며 제2금융권에도 유사한 문제가 있는지 면밀히 살펴봐달라고 강조했다. 그는 “새마을금고에 대해서도 중앙회 차원에서 개별 금고의 사업자대출 취급 실태를 철저하게 점검해 달라”고 했다.
금감원은 이달 내로 제2금융권 현장점검을 마무리하고 연내 위반 차주에 대한 대출 회수 등 관련 조치를 실시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