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사이언스파크와 우주항공청은 14일 경남 사천 우주항공청 본청에서 두 번째 협력 간담회를 열고 2028년 자체 부탑재위성(큐브위성) 발사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현재 탑재 기술 검증 계획을 수립 중이다. 앞서 양측은 지난 6월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첫 간담회를 진행한 바 있다.
이날 회의에는 정수헌 LG사이언스파크 대표를 비롯해 LG 주요 기술경영진과 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이 참석했다. LG는 이번 누리호 4차 발사에는 컨소시엄 형태로 큐브위성 개발에 참여했지만, 향후에는 독자 개발·발사로 우주사업 속도를 높인다는 방침이다.
LG는 우주 진출을 위한 핵심 기술 협력도 함께 논의했다. 통신모듈·카메라·배터리 외에도 디스플레이, 가전, 데이터센터 운영 기술 등 그룹 내 역량을 우주항공 분야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 확장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계열사 차원의 우주 기술 개발도 이어지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스타트업 사우스8과 항공우주용 배터리 셀 개발에 착수했다. 사우스8은 액화기체 전해질 기술을 보유한 업체로 NASA·KULR 테크놀로지 프로젝트에 참여 중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2016년 NASA 우주복 배터리 공급사로 선정되기도 했다.
LG는 지난해 국내 달 탐사 로버 개발사 ‘무인탐사연구소’를 사내 스타트업으로 선정해 지원하고 있으며, 올해 그룹 기술협의회에서도 우주산업 시장 기회와 계열사 협력 모델을 논의했다.
우주항공 시장은 급성장이 예상된다. 시장조사기관 프레시던스 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우주항공 시장은 2024년 4766억달러에서 2034년 1조달러로 확대될 전망이다. 글로벌 투자은행(IB) 모건스탠리도 2040년 시장 규모가 1조100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정수헌 LG사이언스파크 대표는 “우주산업을 LG의 ‘Winning Tech’ 중 하나로 육성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겠다”며 “국가 우주산업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