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약계층 먼저 챙긴다”…서울 자치구, 겨울 한파 대책 가동

“취약계층 먼저 챙긴다”…서울 자치구, 겨울 한파 대책 가동

기사승인 2025-11-16 06:00:04
서울시 용산구 동자동 쪽방촌에 있는 사랑방 전경. 김은빈 기자

올겨울 많은 눈이 내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서울시와 자치구가 약자 중심 한파대책을 추진한다.

기상청 전망에 따르면 올겨울 기온과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다. 강우량도 평년과 비슷할 예정이지만, 우리나라 주변 높은 해수온과 해기차로 지역에 따라 많은 눈이 올 때가 예상된다.

이에 서울시는 최근 ‘2025 겨울철 종합대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15일부터 내년 3월15일까지 4개월간 △한파 △제설 △안전 △생활 4개 분야에 대한 대책을 마련했다. 기후 재난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피해를 줄이고, 노숙인 등 취약계층 보호에 중점을 뒀다.

구체적으로 시는 한파에 노출되는 노숙인을 위해 평상시 2배 이상 관리 인력을 배치한다.

거리상담과 순찰 횟수를 하루 4~6회 이상 실시하고, 식사‧잠자리‧방한용품을 지원한다. 노숙인복지시설에 매일 1900여명에게 식사를 제공하고, 응급잠자리 최대 수용인원도 1일 362명에서 675명까지 늘린다. 시설입소거부 노숙인을 위한 ‘응급쪽방’도 65개실 운영한다.

또 한파 대비 안전관리를 강화한다. 동 담당 방문간호사가 독거어르신, 장애인, 만성질환자 등 건강취약계층 대상으로 한랭질환 예방법 등을 알려준다. 장애인 거주시설 40곳에 월동대책비를 지원하고, 독거‧취약가구 중증장애인 가구엔 활동량 감지기 및 응급호출기 작동 여부를 점검하는 응급안전서비스를 실시한다.

추위를 피할 수 있는 공간도 운영한다. 밤추위 대피소인 ‘쪽방촌 동행목욕탕’ 5개가 열리며,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을 위한 야간 목욕탕도 13곳이 지정된다. 시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한파쉼터도 제공되는데, 한파 특보 발효 시 자치구와 협업해 자치구청사를 응급대피소로 24시간 개방되는 방안 등도 추진된다.

난방비와 생계비 부담을 덜 대책도 마련됐다. 저소득층 22만여명에게 난방 에너지바우처를 지원한다. 이어 한파로 갑자기 생계가 어려워졌거나, 취약한 환경에 거주하는 시민을 위해 생계비(1인가구 73만원)와 의료비(최대 100만원), 10만원 이내 방한용품 등을 준다. 사회복지시설 및 에너지 취약계층 2만여명에겐 난방물품을 제공한다.

자치구들도 팔을 걷어붙였다. 우선 강북구는 결식아동 급식 지원 단가를 1식 9000원에서 9500원으로 인상하고, 경로당에 난방비를 지원하는 등 겨울철 복지 안전망을 강화한다. 또 독거어르신, 장애인 등 건강 취약계층을 위해 재난도우미가 전화 또는 직접 방문을 해 안부를 확인하고 대응한다.

영등포구는 ‘영등포보현희망지원센터’와 협력해 현장진료를 한다. 쪽방촌 민간 무료진료 시설이었던 요셉의원 이전으로 생긴 의료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침이다. 마포구 역시 한파 취약계층 지원 대상을 확대한다. 보훈대상자·저소득층은 지난해 6534가구에서 올해 6800가구로, 장애인활동지원 대상자는 851명에서 900명으로 늘었다.

자세한 사항은 서울시와 각 구청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서지영 기자
surge@kukinews.com
서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