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한국산 의약품에 부과하는 관세를 최대 15%로 확정하면서 제약·바이오업계가 안도하는 분위기다. 다만 제네릭(복제약) 의약품은 무관세가 유지되지만,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에 대해선 언급이 없어 향후 추이를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과 미국 정부는 14일 팩트시트(설명자료)를 통해 한국산 의약품에 부과되는 관세가 15%를 넘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미 행정부의 행정명령에 따라 부과되던 추가 관세도 철폐된다. 이번 조치에는 제네릭 의약품, 의약품 원료, 제네릭 의약품 화학 전구체 등이 포함되며 제네릭은 무관세가 적용된다.
그간 업계는 ‘100% 관세’ 등 불확실성에 직면했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미국에 공장을 짓지 않는 제약사에게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하는 등 관세 압박을 이어왔다.
업계는 이번 결과에 대해 “매우 긍정적이고 다행스럽다”고 평가했다. 당초 거론됐던 100% 관세 우려에서 벗어나 부담이 크게 완화됐다는 것이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미국 시장에 진출 중인 대부분의 국내 제약·바이오기업은 미국 내 위탁생산(CMO) 시설 확보 등을 통해 관세 부담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대비가 돼 있어 충격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며 “미국 내 의약품 가격 인하 및 유통구조 개선 정책과 맞물려 바이오시밀러 등 국내 의약품의 미국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나 이번 발표에 바이오시밀러에 대한 명시적인 내용이 담기지 않은 점은 향후 변수로 작동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국내 바이오시밀러 대표 기업으로는 셀트리온, 삼성바이오에피스 등이 있다.
한국바이오협회는 “이번 팩트시트 내용은 의약품 관세 15%를 넘지 않는다는 것과 제네릭에 무관세를 적용한다는 내용”이라며 “바이오시밀러에 대한 내용은 포함돼 있지 않다”고 짚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