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원·달러 환율이 주요국 통화 대비 달러 강세 폭을 크게 웃돌며 국내 외환시장 불안이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6일 발표한 ‘커지고 있는 외환시장 균형 이탈 가능성’ 보고서에서 이 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원·달러 환율은 지난 9월16일 1378.9원까지 내려갔다가 이후 달러 강세가 이어지며 이달 11일 1463.3원까지 상승했다. 같은 기간 주요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는 96.6에서 99.7로 3.1% 오르는 데 그쳤다. 반면 원·달러 환율은 두배 가량 높은 6.1% 상승했다.
환율 변동 폭 역시 다른 주요 통화 대비 가장 컸다. 엔화(4.6%), 위안화(0.1%), 유로화(-1.7%) 대비 원화의 약세가 두드러졌다.
연구원은 원·달러 환율 변동성 확대 요인으로 미국 관세정책 리스크와 통화정책 불확실성을 꼽았다. 미국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이 이어지는 가운데, 한국 대미 투자 방식 확정이 지난달 말 확정돼 원화 약세 압력이 커졌다는 분석이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경로도 여전히 불투명한 점도 환율 변동성을 확대시켰다고 봤다.
이에 더해 단기자금시장에서의 달러 유동성 부족 우려, 일본의 재정 확대 기대에 따른 엔화 약세와의 동조 현상, 인공지능(AI) 투자 버블 논란으로 확대된 안전자산 선호 심리 등도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평가했다.
연구원은 여러 요인으로 환율 변동성이 커지고 있는 만큼, 대외 리스크 변화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단기 외환·금융시장 안정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