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릴 커들 미국 해군참모총장은 “한국의 핵추진잠수함(핵잠) 건조 추진은 양국 모두에 역사적 순간”이라며 “그 잠수함을 중국 억제에 활용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예상”이라고 밝혔다.
커들 총장은 14일 서울 한 호텔에서 진행된 내‧외신 기자들과 인터뷰를 갖고 “한국 핵잠이 중국 억제에 역할을 할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이같이 말했다. 이어 “한국이 핵잠을 갖추게 되면 미국은 핵심 위협으로 규정하는 중국과 관련된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한국도 중국에 대한 우려를 공유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전략적 계산에 포함돼야 할 요소”라고 밝혔다.
다만 커들 총장은 “한국이 자국의 주권 자산인 함정을 국익에 따라 어떻게 운용하든, 미국이 관여하거나 제한할 수는 없다”면서 “한국이 핵잠을 자국 주변 해역에서 운용하고, 그 환경에서 한국 잠수함과 함께 우리가 활동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중국의 서해 ‘회색지대 도발’에 대해서는 “이런 행태를 방치할 경우 시간이 갈수록 비정상적인 행동이 정상으로 굳어질 위험이 있다”며 일정한 선을 넘는다면 한국과 함께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커들 총장은 ‘대문 유사시 주한미군이나 한국군이 역할을 해야 한다고 보느냐’는 질문에는 “강대국 간 충돌이 생기면 전력 총동원에 가까운 상황이 된다”며 “구체적으로 어떤 방식이 될지 말할 수는 없으나 분명히 일정한 역할은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북한의 해군력 증강에 대해선 “미국에 위협이 되는 수준은 아니지만, 한국에 대해선 위협을 가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며 “규모는 작지만, 핵탄두 탑재 능력을 갖춘 잠수함 발사탄도미사일(SLBM) 전력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전략적 억지력을 갖추려 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국에서 미 해군 전투함을 건조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규제로 인해 복잡한 문제이지만, 이 문제를 계속 검토해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그는 “미국은 조선 능력을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찾고 있고, 한국이 그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한국이 미국 내 투자를 하는 것뿐 아니라 한국에서 미국 선박 건조를 지원하는 방식으로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