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업은행과 5대 금융지주가 ‘국민성장펀드’의 성공을 위해 인력 파견 및 정보교류 등 협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금융위원회는 17일 한국산업은행 별관에서 ‘국민성장펀드 사무국 현판식 및 업무협약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협약식에는 이억원 금융위원장, 박상진 산업은행 회장, 양종희 KB금융그룹 회장, 진옥동 신한금융지주 회장, 함영주 하나금융지주 회장, 임종룡 우리금융지주 회장, 이찬우 농협금융지주 회장 등이 참석했다.
앞서 정부는 인공지능(AI), 반도체 등 미래 핵심 먹거리에 집중 투자하기 위해 향후 5년간 150조원 규모의 국민성장펀드를 조성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번 업무협약으로 산은과 5개 금융지주는 프로젝트별 자금지원에 적극 협력하는 동시에 전문인력 파견과 첨단전략산업 지원 검토사업 등에 대한 정보 교류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를 계기로 금융지주 뿐만 아니라 금융권, 산업생태계 및 중앙정부․지방정부와도 소통이 강화되는 방향을 기대하고 있다.
이 위원장은 모두발언에서 “생산적 금융 대전환 제시 이후 금융권에서도 정책방향에 화답하고 있으나, 시장의 평가는 아직 냉정하다”라며 “우리 금융권이 여전히 이자장사를 통해 막대한 이익을 올리고, 산업 이해에 근거한 전략적인 재원배분에 충분한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평가가 많다”고 짚었다.
특히 “국민성장펀드는 그 규모뿐만 아니라 지원방식과 협업체계도 그간의 산업금융이 가보지 않은 새로운 길”이라면서 “기존의 영업관행과 마인드는 획기적으로 ‘뜯어고쳐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금융권의 생산적금융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요청한다”며 “정부도 출자부담 개선방안, 발생할 수 있는 투자실패에 대한 면책지원 등을 통해 적극적인 투자의사결정을 돕겠다”고 밝혔다.
박상진 한국산업은행 회장은 “국민성장펀드는 150조원 규모로 조성돼 첨단전략산업 생태계 전반을 민관합동으로 지원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라며 “금융권이 하나의 실행축을 형성하여 협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민성장펀드 사무국 현판식도 열렸다. 사무국은 국민성장펀드의 개별프로젝트 접수·예비 검토, 산은 본체를 비롯한 금융기관과의 공동지원 주선 등 금융지원과 함께 자금집행 및 사후관리 실무를 담당한다. 산은 출신 인력과 함께 민간금융권과 산업계의 경력전문가를 채용하고, 민간금융권과의 인력 교류도 적극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산은은 국민성장펀드 사무국(부문)과 혁신성장금융부문 등 기존 투자 관련 조직을 ‘국가산업성장지원그룹’으로 통합해 투자 중심의 전략적 자금지원 기능을 강화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