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가계빚이 다시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정부의 강도 높은 대출 규제로 증가 속도는 다소 둔화됐지만, 신용대출 급증과 ‘빚투’ 확산 등 불안 요소는 여전하다. 전문가들은 가계부채가 내수 회복을 제약할 수 있는 만큼 경계심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한다.
19일 한국은행이 전날 발표한 ‘2025년 3분기 가계신용’에 따르면 지난 3분기 가계신용은 14조9000억원 늘어난 1968조3000억원을 기록하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증가 폭이 2분기 25조1000억원에 비해 감소했지만 지난해 2분기부터 6분기 연속 증가세다. 가계신용은 은행 등 금융기관으로부터 받은 가계대출부터 신용카드 결제 등 판매신용을 모두 합한 가계 빚을 의미한다.
증가 폭 둔화는 6·27 대책으로 대표되는 정부의 강력한 대출 규제 영향으로 풀이된다. 김민수 한은 금융통계1국 금융통계팀장은 “가계신용은 2분기 중 비교적 빠르게 증가했지만 6·27 대책과 7월부터 시행된 3단계 스트레스 DSR 등의 영향으로 증가세가 둔화됐다”면서 “주담대 증가폭과 주택 관련 정책 대출도 2분기보다 증가폭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4분기에도 주담대가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김 팀장은 “6·27대책에 이어 10월 추가 대책 영향으로 주담대 증가세가 보다 안정될 것”이라며 “고가대출 대출 한도가 줄면서 레버리지가 그만큼 감소한 만큼 안정 기조를 이어갈 것”이라고 봤다.
다만 10월 신용대출이 급격히 증가해 아직 안심하기 이르다는 지적도 나온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10월 전 금융권 가계대출(잠정치)은 4조8000억원 증가해, 전월(1조1000억원)보다 증가 폭이 3조7000억원 확대됐다. 9월 1조6000억원 감소했던 신용대출이 10월 9000억원 증가하며 가계대출 증가를 견인했다.
신용대출 증가는 10월 추가 대출 규제를 전후해 주택구매 수요가 몰린 영향이다. 실제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0월 전국 주택가격 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의 주택종합(아파트·연립주택·단독주택) 매매가격지수는 9월 대비 1.19% 상승했다. 이는 9월 상승률 (0.58%) 대비 약 2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여기에 코스피 상승에 힘입은 ‘빚투’ 영향도 있다. 14일 기준 국내 증시 신용거래융자는 26조4033억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신용거래융자 잔액이 늘었다는 것은 그만큼 빚을 내서 공격적으로 투자하는 이들이 많아졌다는 의미다. 다만 전체 시가총액도 같은 기간 큰 폭으로 확대되면서 시총대비 비중은 0.71%로 소폭 하락한 수준을 보였다.
금융당국은 10월 신용대출이 급증했지만 통상 증가 범위를 넘어서지 않았다고 보고있다. 금융위는 “10월 중 신용대출이 전월 대비 증가세로 전환했으나 통상 10~11월은 계절적 요인으로 증가한다”고 설명했다. 신용거래융자의 절대 규모가 증가한 것과 관련해서는 “증권사별 총량 제한과 보증금율·담보비율 제한, 고객·종목별 한도 차등 등을 통해 신용거래융자의 리스크를 면밀히 관리 중”이라고 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가계부채에 대한 금융당국의 더 높은 경계감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이정희 중앙대 경제학 교수는 “가계부채 관리가 안 되면 내수 회복이 어렵다. 빚의 족쇄 때문에 소비 여력이 좁아지는 악순환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라며 “정부가 관리하고 있음에도 부채가 계속 늘어나는 상황이 우려된다”고 짚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