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 향상‧양질의 일자리’로 청년 유출 막아야

‘소득 향상‧양질의 일자리’로 청년 유출 막아야

김성일 의원, 청년 관련 사업 축소 원인 분석 통한 사업 구조개선 필요

기사승인 2025-11-20 15:47:49
전남도의회 김성일(해남1, 민주) 의원은 지난 19일 열린 인구청년이민국 소관 2026년도 예산안 심사에서 “전남도가 매년 청년 취업, 창업, 정착 등 다양한 청년정책에 상당한 예산을 투입하고 있음에도 올해 역시 20대를 중심으로 총 4839명의 청년이 순유출되는 등 청년 이탈 흐름을 막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전남도의회
전남 청년 유출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실질적 소득 향상과 양질의 일자리 기반을 강화하는 구조적인 청년정책 전환이 시급하다고 주장이 나왔다.

전남도의회 김성일(해남1, 민주) 의원은 지난 19일 열린 인구청년이민국 소관 2026년도 예산안 심사에서 “전남도가 매년 청년 취업, 창업, 정착 등 다양한 청년정책에 상당한 예산을 투입하고 있음에도 올해 역시 20대를 중심으로 총 4839명의 청년이 순유출되는 등 청년 이탈 흐름을 막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기업이 지역 청년 채용하면 일정기간 인건비를 지원하는 ‘청년 희망 일자리 지원사업’은 수요 감소를 이유로 전년 대비 42%(약 2억2000만 원)이 감액됐고, 대학생에게 현장실습비를 지원하는 ‘청년 취업지원 사업’ 또한 전년 대비 절반 수준으로 축소됐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참여율이 낮아진 원인이 무엇인지 분석하고, 사업 구조를 개선해 청년과 기업 모두가 참여하고 싶어지는 정책으로 재설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 의원은 “청년들이 지역을 떠나는 궁극적인 이유는 일자리의 질과 소득의 한계 때문”이라고 강조하고, 전남의 청년정책에 대한 근본적 체질 개선을 요구했다.

윤연화 전남도 인구청년이민국장은 “청년층의 정책 체감도가 예전과 달라지면서 참여 수요가 다소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면서 “학업과 취업으로 인한 청년 순유출은 전국적 과제로 인식하고 있으며, 청년들이 타인에 의해 지역을 떠나는 일이 없도록 정책적 노력을 계속해 나가겠다”고 답변했다.
신영삼 기자
news032@kukinews.com
신영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