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추진하는 대의원-권리당원 ‘1인 1표제’ 당헌·당규 개정이 당무위원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가운데, 이언주 최고위원이 “밀어붙이기식으로 하는 게 맞느냐”며 공개적으로 반기를 들었다.
이 최고위원은 2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정해졌으니 무조건 따라오라는 방식은 민주적 절차에 부합하지 않는다”며 “1인 1표 원칙에 대한 찬반 문제가 아니라 절차적 정당성을 확보했는지 여부가 논란의 핵심”이라고 주장했다.
이 최고위원은 1인 1표제 개정안으로 인해 취약지역에 대한 전략적 문제, 과소대표되는 취약지역에 대한 우려 등이 있다며 “민주당이 수십 년간 운영해 온 대의원 제도를 충분한 숙의 과정 없이 며칠 만에 밀어붙이기식으로 하는 게 맞는가. 지금도 여전히 반대하는 대의원뿐 아니라 많은 목소리에 귀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더구나 대통령 순방 중 이렇게 이의가 많은 안건을 밀어붙이는가. 당원들을 분열시킬 필요가 있는가”라며 “불과 1개월 (전 가입한) 당원이 참여해 (전체의) 16.8%밖에 참여하지 않은 여론조사를 생각한다면 무조건 정해졌으니 따라오라는 방식은 민주적 절차에 부합하지 않는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최고위원은 2023년 당시 당의 대의원제 축소 사례를 들며 “당시 논의 과정은 지금과 다르게 충분한 숙의를 거쳐 이뤄졌다. 약 7개월여 동안 여러 차례 최고위원회와 의원총회까지 거치면서 개정안을 계속 다듬었고 다수 공감대를 얻는 절충안을 도출할 수 있었다”고 했다.
그러면서 “당시 이재명 당 대표도 대의원제를 사실상 폐지하는 수준까지 가는 것은 취약지역에 대한 우려, 여러 문제가 있음을 인식하면서 ‘그 정도로 하자’고 하셨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다시 한번 충분한 시간을 갖고 다양한 방식의 논의를 해야 한다”며 “당원 전반의 동의는 물론 반대하는 사람들도 ‘이제 이 정도면 절차를 충분히 거쳤고 수긍할 수 있다’는 숙의 과정을 거칠 것을 거듭 당부한다”고 말했다.
현재 민주당 안팎으로 정청래 대표가 공약해 추진하는 1인 1표제 당헌·당규 개정안에 대한 의견 충돌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1인 1표제가 정 대표의 대표직 연임을 위한 포석이라는 비판과 함께 당 취약지역에서의 목소리가 왜곡될 것이라는 부작용 등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민주당은 지난 21일 당 지도부 선거와 지방선거 공천 과정에서 권리당원 표심을 대폭 강화하는 내용의 당헌·당규 개정안을 발표했다. 현재 권리당원 1표의 가치는 대의원 1표의 20분의 1 수준이다. 이를 개정해 대의원과 권리당원 모두 1인 1표를 행사할 수 있도록 해 모든 당원의 표 가치를 동일하게 하겠다는 것이다.
당은 지난 19일부터 이틀간 지난달 당비를 낸 권리당원 164만여명에게 개정안 찬반 여부를 묻는 전당원 여론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 대의원·권리당원 1인 1표제에 대해 찬성 86%, 반대 13%로 나타났으나 참여율은 16%대로 저조했다.
당헌·당규 개정안은 이날 당무위, 28일 중앙위원회 의결을 거쳐 최종 확정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