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로 배우 고(故) 이순재가 25일 별세했다. 향년 91세. 남다른 연기 열정으로 오랜 시간 후배 배우들의 귀감이 됐던 그를 떠나보내게 된 연예계는 물론, 전 국민이 깊은 슬픔에 빠졌다.
이순재는 1934년 함경북도 회령에서 태어났고, 네 살 때 조부모를 따라 서울로 내려왔다. 대전고등학교, 서울고등학교를 거쳐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했으며, 대학 시절 영화 ‘햄릿’을 보고 배우를 꿈꾸게 됐다.
1956년 연극 ‘지평선 너머’를 통해 데뷔한 이순재는 1965년 TBC 1기 전속 배우가 되면서 브라운관으로 시청자를 활발히 만났다. 주요 출연 드라마는 ‘나도 인간이 되련다’, ‘동의보감’, ‘보고 또 보고’, ‘삼김시대’, ‘목욕탕집 남자들’, ‘야인시대’, ‘토지’, ‘엄마가 뿔났다’ 등 100편이 넘는다.
드라마 ‘사랑이 뭐길래’(1991~1992)도 대표작 중 하나다. 그는 역대 1위인 평균 시청률 59.6%를 기록한 이 작품에서 ‘대발이 아버지’ 캐릭터로 큰 사랑을 받았다. 이러한 지지에 힘입어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에 당선되기도 했다.
1996년 정계 은퇴 후에는 드라마 ‘허준’(1999)을 통해 대중에게 배우 이순재를 또 한 번 각인시켰다. 이후 ‘상도’, ‘장희빈’, ‘불멸의 이순신’, ‘이산’ 등 사극부터 ‘흥부네 박터졌네’ 등 현대극까지 장르를 가리지 않고 참여하며 작품의 높은 완성도에 기여했다.
시트콤 ‘거침없이 하이킥’(2006) 역시 그에게 상징적인 작품이다. 극중 야한 동영상을 보다가 가족에게 들키는 에피소드로 ‘야동 순재’라는 별명을 얻으며, 남녀노소 모두 아우르는 친근한 이미지를 쌓는 데 성공했다. 무엇보다 이 작품으로 MBC 방송연예대상 대상을 수상하며 제2의 전성기를 입증했다.
예능에서도 어른의 본보기로서 활약했다. 나영석 PD가 연출한 tvN ‘꽃보다 할배’ 시리즈에 신구, 박근형, 백일섭, 이서진과 출연한 그는 체력적으로 부칠 만한 일정에도 지치지 않고 너그러운 모습을 보여줬다.
이순재는 여기에 그치지 않고 연극 무대로 다시 걸음을 옮겨, ‘장수상회’(2016), ‘앙리할아버지와 나’(2017), ‘리어왕’(2021)으로 도전을 이어갔다. 특히 ‘리어왕’에서는 200분 분량의 대사를 소화해 울림을 선사했다. 2023년에는 안톤 체호프의 희곡 ‘갈매기’를 통해 연출자로 변신했다.
그러나 그는 지난해 10월 건강 이상으로 연극 ‘고도를 기다리며’에서 중도 하차했다. 이어 드라마 ‘개소리’ 촬영도 같은 문제로 일시 중단됐다고 전해지며 그의 건강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기 시작했다.
이 가운데 그는 같은 해 12월31일 2024 KBS 연기대상 시상식에 참석했다. 그의 마지막 공식 석상이다. ‘개소리’로 대상을 받으면서 KBS 역대 최고령 수상자가 된 그는 “오래 살다 보니 이런 날이 온다”며 “시청자 여러분께 평생 신세 많이 지고 도움 많이 받았다고 말하고 싶다”는 소감을 남겼다.
자타공인 방송가 산증인이었던 이순재의 타계 소식에 후배 연예인들은 애통함을 표하고 있다. ‘지붕뚫고 하이킥’을 함께한 배우 정보석은 SNS에 “그동안 너무나 감사했습니다. 연기도, 삶도, 배우로서의 자세도 많이 배우고 느꼈다”며 “제 인생의 참 스승이신 선생님. 선생님의 한 걸음 한 걸음은 방송 연기의 시작이자 역사였다”고 적었다. ‘개소리’로 호흡을 맞췄던 배우 배정남도 SNS에 “너무나도 존경하는 선생님과 드라마를 함께 할 수 있어서 제 인생 최고의 영광이었다”며 고인의 안식을 기원했다.
코미디언 김영철은 이날 SBS 파워FM ‘김영철의 파워FM’을 진행하면서 “연예계에서도 후배들의 존경과 사랑을 받으셨던 분”이라며 이순재의 명복을 빌었다. 가수 테이도 MBC FM4U ‘굿모닝FM 테이입니다’에서 “본인 생을 마감할 때까지 무대나 카메라 앞에 있겠다고 하셔서 100세 넘게 활동하실 줄 알았다”며 “한평생 도전을 멈추지 않으셨던 열정을 다하셨던 모습 잊지 않겠다”고 애도했다.
한편 이순재의 빈소는 서울 풍납동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됐다. 발인은 오는 27일 오전 6시20분이며, 장지는 경기 이천 에덴낙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