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루 24시간, 8만6400초. 시간은 누구에게나 공평하다고 한다. 과연 그럴까. 어떤 이들의 시간에는 가속도가 붙는다. 시간빈곤자 이야기다. 일주일 168시간 중 개인 관리와 가사, 보육 등 가계 생산에 필요한 시간을 뺀 나머지 시간이 주당 근로시간보다 적으면 시간빈곤자가 된다. 쿠키뉴스 특별취재팀은 다양한 시간빈곤자 중 한부모에 주목했다. 생업과 양육, 가사를 모두 짊어진 한부모는 시간을 쪼개가며 1인 3역을 하고 있다. 찰나의 여유도 허락되지 않는 사람들. 시간빈곤에 빠진 한부모의 목소리를 다섯 편의 기사에 담았다. [편집자주]
김희윤(47·여·가명)씨의 삶은 고단했다. 남편과 이혼 후 일을 쉬어본 적 없었다. 어렵게 구한 직장에선 늘 눈치를 봤다. 돈을 버느라 시간이 없었고, 반대로 시간을 벌려면 돈이 필요했다. “저는 너무 치열하게 살았어요. 아이 운동회나 졸업식에 간 적이 없을 정도로요. 급식당번 날에 학교에 갔던 게 처음이자 마지막이었어요. 한번은 방과 후 돌봄교실에 가기 싫다는 아이에게 매를 들었어요. 연차를 쓸 수 없는 회사에 다녔거든요”
한부모가 일을 해야 하는 이유는 수백 가지다. 아이와 함께 살 집이 있어야 하고, 입에 넣어줄 밥도 필요하다. 교육도 시켜야 한다. 가사와 육아에도 바쁜 한부모가 노동에 가장 긴 시간을 쓰는 이유는 결국 모든 것에 돈이 들기 때문이다.
시간빈곤에 빠진 한부모의 노동 환경은 열악하다. 지난해 여성가족부가 발표한 한부모 가족 실태조사에 따르면 한부모의 77.7%는 취업한 상태지만, 대부분 근로소득과 고용안정성이 낮은 일자리였다. 10명 미만 사업장에서 일하는 비율이 절반 이상이다. 임시·일용직 비율은 33.7%에 달했다. 취업한 27.9%가 일평균 10시간 이상 일하고, 절반에 못 미치는 44.4%만 주5일제 근무를 했다. 정해진 휴일이 없는 경우도 12%였다. 장시간 근로, 시간 대비 낮은 임금, 불투명한 직업전망 등이 지친 이들을 더욱 피로하게 만든다.

오랜 시간 일하면 소득이 높아질 수 있다. 그러나 이 식에는 적당한 보수가 주어진다는 전제가 있어야 한다. 한부모 특히 여성 한부모는 경제적 취약성으로 긴 시간 일하고도 충분한 돈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시간빈곤이 소득빈곤과 만나 이중빈곤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비단 저소득층 한부모만의 일이 아니다.
장시간 노동에도 삶이 나아지지 않는다는 것은 큰 고통이다. 김주영(49·여)씨는 남편과 헤어지고 12년간 한부모로 지냈다. 중학교 2학년이 된 딸을 키우기 위해 안 해본 일이 없었다. 어렵게 서울 성동구에 필라테스 사업체를 차리고 일구는 동안에는 잠도 거의 자지 못했다. 오전 8시에 나가 오후 11시까지 일했다. 결국 건강에 무리가 왔고 김씨는 모든 사업을 접어야 했다. “한부모는 경제적으로 부유해지기 어려워요. 몸은 하난데 시간은 없으니까요. 가난을 벗어나고 싶어 열심히 달렸는데 제자리로 돌아왔어요. 너무 절망적이에요” 김씨는 흐느꼈다.

민수미 기자 min@kukinews.com
도움 한국언론진흥재단-세명대 기획탐사 디플로마 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