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스코이앤씨에서 올해 네 건의 산업재해 사망사고가 발생하자 포스코그룹이 그룹차원의 대책을 내놓았다. 포스코그룹은 장인화 회장 직속으로 ‘그룹안전특별진단 태스크포스(TF)팀’을 신설하기로 했다.
31일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은 이날 인천 송도 포스코이앤씨 사옥을 방문해 포스코홀딩스 장인화 회장 및 그룹사 주요 사장단과 간담회를 진행했다.
김 장관은 이날 모두발언에서 “건설업은 위험한 작업이 많고 산업 구조적으로 다단계 하도급이 있어 위험이 밑으로 갈수록 심대해지는 문제가 있다”며 “이재명 대통령도 국토교통부와 노동부가 협업해 이런 구조적 문제의 근본 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고 말했다.
이어 “친노동이 친기업이 될 수 있는 가장 유력한 지점이 바로 노동 안전”이라며 “더 이상 사람과 안전을 비용으로 생각해서는 안 된다”고 당부했다.
앞서 지난 28일 포스코이앤씨가 시공을 맡은 경남 함양울산고속도로 의령 나들목 공사 현장에서 경사면 보강 작업을 하던 60대가 천공기(지반을 뚫는 건설기계)에 끼여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올해 포스코이앤씨가 시공을 맡은 현장에서 네 번 째 산업재해 사망사고다.
김주영 더불어민주당 산업재해예방 태스크포스(TF) 단장은 “유사 사고가 오래전에 있었고, 이미 산업안전보건규정 등에 관련 재해예방을 위해 현장에서 해야 할 내용이 들어가 있다”며 “그렇지만 관리·감독이 제대로 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훈기 TF 위원은 “산업안전보건법에 나오는 내용대로 천공기(지반을 뚫는 건설기계)에 덮개만 씌우면 방지할 수 있었던 사고였다"며 "이재명 대통령이 말씀하신 대로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포스코그룹은 그룹차원의 대응책을 마련했다. 포스코홀딩스는 “안전이 그룹 최고의 가치가 될 수 있도록 사업회사 중심의 안전관리를 그룹 중심의 안전관리체제로 전환해 시스템과 인프라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겠다”며 ‘'안전관리 혁신계획’을 발표했다.
먼저 그룹 회장 직속의 그룹안전특별진단 TF팀을 다음달 1일 자로 출범시킨다. 학계와 기관 등 외부전문가들과 직원, 노조 등 대의기구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하는 TF가 그룹 안전관리 체계 전반 현황을 진단하고 개선 과제를 도출할 예정이다. 포스코홀딩스 측은 “직원 대의기구, 현장 근로자 등 현장의 최고 전문가들이 안전 경영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도록 폭넓은 권한을 부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도급 구조도 근본적으로 혁신한다. 모든 현장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하도급 위반 사례에 대해서는 거래중단 및 계약해지 등 강력한 조처를 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한도를 두지 않고 안전 예산을 대폭 확대한다. 매출의 일정 비율 이상을 안전 예산으로 편성하고 ‘선(先)집행 후(後)보고 원칙’에 따라 집행한다는 방침이다.
안전 전문회사 설립도 검토한다. 이 회사는 글로벌 안전우수기업 벤치마킹, 인수합병(M&A) 등 모든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안전과 인공지능(AI)을 접목해 안전기술 개발, 안전진단 및 설루션, 공사안전 플랫폼 등을 개발해 중소기업과 하청업체 등 제조 및 건설 현장에 안전기술을 제공한다.
이와 함께 ‘산재가족돌봄재단’을 설립, 장학사업과 유가족 지원에도 나선다.
포스코홀딩스 측은 “다시 한번 산업재해로 유명을 달리하신 고인과 유가족분들께 머리 숙여 사과드린다”면서 “친노동, 노동 안전이 기업의 경쟁력이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안전관리 혁신계획을 실행하고 산업재해 예방을 경영의 최우선 과제로 삼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