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H투자증권이 모회사 지원에 힘입어 종합투자계좌(IMA) 인가 신청에 나섰다. 미래에셋증권과 한국투자증권 대비 자기자본 규모가 작은 NH투자증권이 인가를 받기 위해 전사 차원의 총력전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1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NH투자증권은 지난 31일 모회사인 농협금융지주로부터 6500억원을 지원받아 IMA 사업에 진출한다고 밝혔다. NH투자증권은 3분기 내 신청서를 접수할 예정이다.
지배구조상 농협금융지주의 NH투자증권 지원이 단독으로 결정되기는 어렵다는 점에서 농협중앙회도 IMA 인가 중요성에 대해 공감한 것으로 보인다. 농협중앙회가 나서서 NH투자증권의 IMA 사업 지원할 가능성도 있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IMA 사업자로 한국투자증권이 가장 유력한 것으로 보인다"며 "NH투자증권 나름대로 경쟁력 있다고 판단한 부분을 내세워 감독당국을 설득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IMA 인가 신청을 한 3개 증권사 가운데 NH투자증권은 후발주자다. 미래에셋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은 각각 2018년과 2023년 자기자본 8조 자격을 이미 갖췄다. 발행어음 사업에서 NH투자증권이 상대적으로 보수적으로 운용했다는 점도 인가에 걸림돌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NH투자증권의 발행어음 잔고는 7조9000억원 정도로 한도(자기자본의 2배)의 50%에 못 미친다. 같은 사업을 하는 한국투자증권과 비교되는 수치다. 한투증권의 상반기 말 기준 발행어음 잔고는 17조9700억원으로 이미 한도 대부분을 채웠다. 한투증권은 발행어음 사업 등에서 호실적을 거두며 지난 상반기 영업이익이 업계 최초로 1조원을 넘었다.
업계 관계자는 "같은 사업은 아니지만 발행어음 운용 결과를 보면 IMA 운용 능력에 대해 어느 정도 가늠할 수 있다"면서 "한투증권이 월등하게 앞선다는 건 인정할 수밖에 없는 사실"이라고 말했다.
NH투자증권, 연이은 압수수색...내부통제 이슈 부담 요인
연이어 터진 내부통제 이슈도 NH투증권의 IMA 인가에 발목을 잡는 요인이다. 금융당국은 올해에만 2번이나 NH투자증권 직원에 대한 압수수색에 나섰다. 지난달 금융위원회는 직원이 미공개 정보를 이용해 부당이득을 취득한 정황을 포착해 본사 사무실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앞서 4월에도 고려아연 경영권 분쟁과 관련해 직원 1명이 압수수색을 받은 바 있다.
지난해엔 금감원이 '파두 뻥튀기 상장 논란'으로 상장 주관사였던 NH투자증권 본사를 압수수색했다. 당시 파두가 제출한 증권신고서에는 연 매출액을 1203억원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상장 후 11월 파두는 3분기 매출 3억2100만원, 영업손실 128억원이라고 공시했다.
업계 관계자는 "IMA 심사 시 △모험자본 공급 계획 △IMA 관련 건전성 관리 능력 △각종 리스크 등을 종합적으로 본다"며 "임기 중 압수수색 등 내부통제 이슈로 여러 차례 입방에 오른 건 부담 요인"이라고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