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최초 '국가산단' KDI 조건 맞춰 추진하겠다

대전 최초 '국가산단' KDI 조건 맞춰 추진하겠다

대전시 "기업 유치 총력, 정부출연연구기관 카이스트와 나노종합기술원 등 적극 활용"
장철민 국회의원 "대전 입지가 가장 유리한데도 미흡한 준비로 예타 신청”
나노반도체 국가산단은 대전의 미래 먹거리 여·야 따로 없다

기사승인 2025-08-12 21:17:42
대전 카이스트 내(內) 나노종합기술원이 보유한 '12인치 테스트베드' 핵심장비인 ArF Immersion Scanner(불화아르곤 이머전 스캐너)로 제작한 40nm급 수준의 패턴 제작을 위한 노광장비. 나노종합기술원
나노반도체 국가산업단지 최종 후보지 예상 조감도. 대전시

대전시 '나노반도체 국가산업단지 최종 후보지'가 올해 2월 국무회의 심의를 거쳐 GB 규제혁신 지역전략사업 첫 수혜지로 최종 선정되면서 대전 최초의 국가산단 조성이 가시화 됐지만 돌연 대전시가 예비타당성조사를 철회했다고 밝혔다.

대전시에 따르면 나노반도체 국가산단 후보지 지정 시 484개사의 입주 의향서를 제출하고 시행사인 LH가 수요 조사 시에만 해도 입주 의향률이 높았지만 올해 실시된 KDI(한국개발연구원)의 기업 입주 의향률이 낮아 내용을 보강해 다시 제출하기 위해 철회를 신청했다는 것이 대전시의 설명이다. ·

그러면서 KDI가 보완을 요구하는 내용에 대해 충실히 이행할 것이며 정부출연연구기관인 '카이스트 반도체 연구소'와 '나노종합기술원'과의 협력관계 등을 추가 자료로 준비해 예타를 통과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장철민 국회의원(대전 동구,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은 본인 SNS를 통해 대전시와 LH가 추진한 대전 나노반도체 국가산단 예비타당성조사 철회에 대해 강하게 비판했다.

장 의원은 “대전시의 기업유치 MOU 등 수요 확보 실적은 같은 시기 지정된 다른 국가산단과 비교해 턱없이 부족했다"며 "대전이 입지가 가장 유리함에도 준비 미흡으로 통과가 불가능한 예타를 신청한 것”이라며 시험공부는 안 하고 시험장만 들어가 열심히 하는 척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특히 장 의원은 “대전시와 LH가 예타를 ‘철회했다’기 보다 사실상 ‘철회당한 것’”이라며, 사업성 미확보로 인해 예타 통과 가능성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신청서를 반려당한 것과 다름없다고 지적했다.

이 소식을 접한 한 시민은 "대전에서 처음으로 국가산업단지가 최종 후보지로 지정됐는 데 좌초 위기에 있다고 하니, 대전이 또 정치적으로 이용당했다는 생각이 든다"며 "여·야를 떠나 어렵게 지정된 국가산단 후보지가 완성될 수 있도록 힘을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전의 입지가 유리하다면서 대전에 산업단지가 없는 것은 우리 젊은이가 대전을 떠나는 이유"라며 "대전의 미래를 생각하는 정치적인 행보를 시민들은 기대한다"고 전했다.

한편 나노반도체 국가산업단지가 조성되면 생산유발효과 약 9700억 원, 부가가치유발효과 약 4000억 원, 취업유발효과 7000억 원 등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예상될 것으로 시는 전망했다. 
명정삼 기자
mjsbroad@kukinews.com
명정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