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T가 해킹 의혹을 받고 있는 가운데 경기 광명시에서 휴대전화 소액결제로 수십만원이 빠져나가나는 사건이 발생했다. 20여명의 피해자들은 모두 KT 이용자로 알려져 수사 결과가 주목된다.
5일 KT 관계자는 쿠키뉴스를 통해 “해당 사건은 경찰에서 수사 중인 상황으로 KT는 수사에 적극 협조하고 있는 중”이라고 말했다.
경찰, 연합뉴스 등에 따르면 지난달 27일부터 31일까지 새벽 시간대 모바일 상품권 구매, 교통카드 충전 등 명목으로 수십만원이 빠져나갔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경찰은 해킹에 의한 범죄 가능성 등을 두고 수사를 진행 중이다.
피해 규모는 모바일 상품권 80만4000원 충전 등 모두 62차례에 걸쳐 1769만원으로 집계된다. 경찰이 파악한 피해자 수도 2일 기준 26명에 달한다. 이들은 모두 KT 이용자로 광명시 소하동에 거주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게다가 광명시 주민 온라인 카페 등에는 소액결제 피해를 봤다는 글이 올라오고 있어 피해 규모는 더 커질 가능성도 있다.
처음 신고를 받은 광명경찰서는 해킹 범죄일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경기남부경찰청으로 사건을 이첩했다. 이번 소액결제 피해가 해킹으로 인한 것인지는 아직 밝혀진 바는 없다.
앞서 미국 보안 전문지 ‘프랙’ 보고서가 KT의 인증서(SSL 키) 유출 정황이 발견됐다는 내용을 실으면서 해킹 의혹이 커지고 있다. 게다가 해당 인증서는 유효 기간이 만료된 상태라 조사도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에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인 최민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KT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로부터 해킹 의혹을 통보받은 뒤 원격상담시스템 서버를 폐기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