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 의원 “TAVI 시술, 안전성·효과 고려한 균형 잡힌 급여 필요”

김윤 의원 “TAVI 시술, 안전성·효과 고려한 균형 잡힌 급여 필요”

12일 ‘어르신 심장질환 보장성 확대 정책 토론회’ 개최
“대동맥판막협착증, 치료 않으면 평균 생존 2~5년 불과”

기사승인 2025-09-12 15:40:34
김윤 더불어민주당 의원. 박효상 기자

김윤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대동맥판막협착증의 최신 치료법인 ‘경피적 대동맥판 삽입술(TAVI)’ 시행 3년이 지난 지금 환자 안전성과 치료 효과, 건강보험 재정 건전성 사이에서 균형 있는 수가를 적용해야 한다고 짚었다.

김 의원은 12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개최된 ‘초고령사회 어르신 심장질환 보장성 확대를 위한 정책 토론회’ 인사말을 통해 “심장질환은 고령층의 주요 사망 원인 가운데 하나이며, 그중 대동맥판막협착증은 증상이 나타난 뒤 치료하지 않으면 평균 생존이 2~5년에 불과할 정도로 치명적”이라며 TAVI 시술이 좋은 치료법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TAVI는 허벅지 동맥에 가늘고 긴 의료용 관을 넣은 뒤 그것을 통해 인공판막을 체내에 삽입하는 방법으로, 수술 없이 심장판막 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보험 급여를 적용받는 환자군은 80세 이상의 수술 고위험군에만 한정돼 있다. 반면 해외에선 80세 이하의 환자에게도 TAVI 시술을 권고하고 있다.

김 의원은 “2022년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에서 (TAVI 시술을) 제한적 급여화를 도입했다. 고위험 환자에게는 건강보험을 적용하되 중등도와 저위험 환자군은 선별급여로 남겨 둔 것은 임상적 효과와 건강보험 재정의 지속가능성을 균형 있게 고려한 결과였다”며 “이제 시행 3년이 지난 지금은 환자의 안전성과 치료 효과, 의료현장의 협력 구조, 재정 건전성 사이에서 어떻게 균형을 잡을지가 핵심 과제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특히 현장에서 헌신하는 의료진의 노고가 합리적으로 보상될 수 있도록 수가체계 개선도 함께 논의돼야 한다”면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의 일원으로서 저 역시 합리적인 제도 개선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신대현 기자
sdh3698@kukinews.com
신대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