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전환의 가속화로 세계는 에너지 수요 급증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인공지능(AI) 학습, 데이터센터, 전기차 보급 확대 등은 전력 수요를 기하급수적으로 늘리고 있으며,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50년까지 전 세계 전력 수요가 2021년 대비 약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통계가 아니라, 앞으로 국가 경제와 산업 경쟁력이 전력 인프라에 의해 좌우될 것임을 보여준다.
그러나 우리 현실은 아직 충분히 대비되어 있지 않다. 전력망 확충은 국가 차원의 핵심과제임에도 불구하고, 실제 송전선로 건설은 평균적으로 13년 이상 소요되고 있다. 절차 지연, 주민 갈등, 환경 문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사업이 늦어지고, 이로 인해 미래 수요 대응에 차질이 빚어진다. 안정적인 전력공급이 흔들릴 경우, 첨단산업의 성장뿐 아니라 국민 생활 전반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국회를 통과한 ‘전력망 확충 특별법’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특별법은 송전설비 입지 절차를 합리적으로 단축할 것으로 기대한다. 무엇보다 주민·토지주, 지자체에 대한 지원 강화, 주민 재생에너지 사업 지원, 주민과 지자체의 목소리에 대한 보다 폭넓은 의견수렴 등이 가능해진다. 이는 단순히 법제도 개선을 넘어, 전력망 확충의 사회적 신뢰를 회복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전력망은 눈에 보이지 않지만 국가 경쟁력의 ‘혈관’과 같다. 혈관이 막히면 인체가 건강할 수 없듯, 전력망 확충이 지연되면 국가 산업과 경제 성장도 멈춰 설 수밖에 없다. 이제는 전력망 적기 건설이 곧 국가경쟁력 강화와 국민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진다는 인식을 공유해야 한다.
한국전력공사는 앞으로 ‘전력망 확충 특별법’의 취지를 충실히 이행하여 적기에 전력망을 건설하고 책임 있게 완수할 것이다. 안정적인 전력 인프라 위에서만 AI 시대의 데이터 경제도, 미래 모빌리티 산업도 국민의 풍요로운 삶도 가능하다. 전력망 적기 확충이 곧 대한민국의 미래 경쟁력을 높이는 길임을 다시 한 번 강조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