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무재선충병 확산'… 산림청, AI 활용 다중 방어체계 대응

'소나무재선충병 확산'… 산림청, AI 활용 다중 방어체계 대응

라이다 장착 드론, AI로 감염목 분류
유전자 진단키트로 현장 확인
감염목 무단유출 엄정관리

기사승인 2025-09-24 15:00:28
24일 정부대전청사 기자실에서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실행계획을 설명하는 이용권 산림청 산림재난통제관. 사진=이재형 기자

올가을 소나무재선충병 확산이 우려됨에 따라 산림청이 총력 방어전에 돌입했다.

이에 따라 산림청은 이달부터 내년 5월까지 인공지능(AI) 첨단기술 활용, 백두대간 등 보존가치가 높은 소나무림 보호를 골자로 하는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실행계획을 시행한다.

소나무재선충병 확산 우려

우리나라에서 소나무재선충병은 1988년 부산에서 처음 발견된 후 전국으로 확산돼, 2014년 218만 그루가 피해를 입는 ‘재선충 대란’을 겪었다.

이후 집중적인 방제 효과로 발병 규모가 줄었지만 2023년부터 재차 확산돼, 지난해 9월부터 지난 5월까지 149만 그루가 감염되며 피해 규모가 커지는 상황이다.

소나무재선충병은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가 옮기는 병원충이 소나무류를 단기간에 고사시켜 산림 생태계 파괴를 유발하고, 이로 인해 산불, 토사 유출, 산사태 등 2차 피해로 이어진다.

소나무재선충병 피해 현황. 산림청

감염 의심 소나무 AI로 선별

산림청은 이번 방제계획에 AI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다.

이에 따라 기존 헬기와 드론을 이용한 항공 예찰에 AI와 라이다(LiDAR) 기술을 결합해, 공중 촬영 영상을 AI가 분석해 소나무재선충병 감염 의심목을 자동 선별한다.

관찰 지역은 소나무 보존 가치가 큰 산림지역과 재선충병 재발생 지역이다.

감염이 의심되는 현장은 유전자 진단키트로 감염 여부를 즉시 확인해 대응 효율성을 높인다.

이에 따라 감염 의심목 발견부터 진단, 방제까지 걸리는 시간이 크게 단축돼 선제적 차단을 기대할 수 있다.

소나무재선충병 예찰. 산림청

다중 방어체계 구축

산림청은 금강소나무림과 백두대간 등 생태·문화적 보존 가치가 높은 지역을 중점 관리한다.

특히 국가선단지는 도시, 강, 활엽수림 등 완충구역을 적극 활용해 다중 방어체계를 구축하고, 피해가 시작되는 선단 지역부터 우선 방제해 확산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방침이다.

방제 방식도 기존과 달리 피해 양상에 따라 가장 효율적인 방제를 선택·적용하는 것이 확산 방지의 관건으로 보고, 파쇄·훈증 단목방제, 소구역 모두베기, 강도간벌, 수종 전환 방제 등을 피해 정도와 집단발생 여부에 맞춰 적용한다.

특히 올해부터 시작한 수종 전환 방제는 집단발생지역의 소나무를 아예 다른 수종으로 바꿔 재선충병의 서식 기반을 없애는 방법이다.

이와 함께 예방주사, 드론을 활용한 항공 방제 등 다양한 맞춤형 조치도 병행한다.

감염목 불법 이동, 인위적 확산 차단

산림청은 지난해 소나무재선충병 확산의 75%가 사람에 의한 인위적 확산으로 분석됨에 따라 이를 방지하는 내용을 추가했다.

특히 화목용으로 소나무를 무단 반출하거나, 취급업체가 규정을 어기고 목재를 이동시키는 사례를 중점 단속한다.

이에 따라 화목 농가 및 취급업체를 대상으로 계도 활동과 단속을 강화하고, 적발 시 사법처리로 강력 대응한다.

이용권 산림청 산림재난통제관은 “이번 방제대책은 단순 병해충 대응을 넘어 미래 세대에게 건강한 숲을 물려주기 위한 조치”라며, “첨단기술을 활용한 예찰과 맞춤형 방제, 불법 이동 차단까지 총력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재형 기자
jh@kukinews.com
이재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