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정부 대통령실 고위공직자의 재산이 처음 공개됐다. 이들은 평균 23억2500만 원의 재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10명은 서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 내 부동산을 보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전날 6월 2일부터 7월 1일 사이 임명된 고위공직자에 대한 재산을 공개했다. 대통령실에선 28명이 포함됐다. 국회의원 신분으로 정기등록재산을 올해 한 차례 공개한 이 대통령과 강훈식 비서실장, 위성락 국가안보실장, 강유정 대변인은 제외됐다.
고위공직자 수시재산등록사항에 따르면 대통령실 참모진 중 재산 1위는 김상호 보도지원비서관으로 60억7800만원을 보유했다. 문진영 사회수석비서관(55억3200만원)과 이태형 민정비서관(55억3100만원), 최성아 해외언론비서관(47억7900만원), 봉욱 민정수석비서관(43억6300만원)이 그 뒤를 이었다.
전성환 경청통합수석비서관은 2억9200만원을 신고해 가장 적은 재산을 보유했다. 이어 김남준 부속실장(4억1300만원), 김용채 인사비서관(5억2000만원), 전치영 공직기강비서관(7억3100만원), 김현종 국가안보실 1차장(7억5100만원) 순으로 재산이 적었다.
대통령실 고위 참모 28명 중 10명이 서울 강남권에 아파트를 보유하고 있었다. 김용범 정책실장은 15억6710만원 상당의 서초구 서초동 아파트를, 봉욱 수석은 서초구 반포동 다세대주택과 성동구 옥수동 아파트를 보유했다고 신고했다. 봉 수석은 대표적인 배당주로 꼽히는 맥쿼리인프라 주식 2만4610주(2억8500만원)도 가지고 있었다.
문진영 사회수석은 강남구 역삼동 주상복합건물(1억200만원), 용산구 이촌동 아파트(18억8000만원), 청파동2가 근린생활시설(13억9000만원) 등 부동산 재산만 48억원에 달했다. 김상호 비서관은 강남구 대치동 다세대주택 6채(총 가액 40억원)와 35억원 상당의 광진구 구의동 아파트를 배우자와 공동으로 소유하고 있었다. 다세대주택에 대한 임대 채무로 본인 9억2200만원과 배우자 8억9400만원을 신고했다.
이태형 비서관은 배우자 공동 명의의 송파구 잠실동 아파트(23억5200만원)와 장차남 공동 명의의 송파구 가락동 아파트(22억9000만원)를 보유했다. 권혁기 의전비서관은 서초구 서초동 아파트(26억5000만 원)를 부부 공동 명의로 새로 매입했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의 핵심 측근인 김현지 총무비서관은 11억8300만 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경기 성남시 대장동에 7억5000만원 상당의 아파트를 배우자와 공동 명의로 보유하고 있었다. 김 비서관은 이 아파트를 주택 청약을 통해 매입했다고 밝혔다. 앞서 경찰은 김 비서관의 대장동 아파트 특혜분양 의혹을 내사했으나 ‘혐의 없음’으로 2022년 내사 종결 처리했다.
퇴직자 중에선 239억4888만원을 신고한 김동조 전 대통령실 국정기획비서관이 가장 재산이 많았다. 직전 신고보다는 114억여원이 감소했는데, 대부분 보유 비상장주식 가치 감소에 따른 것이었다.
장호진 전 대통령실 외교안보특별보좌관이 158억1930만원, 김태효 전 국가안보실 1차장이 149억8567만원의 재산을 신고해 뒤를 이었다. 정진석 전 비서실장은 종전보다 9억4000여만원 증가한 98억3831만원을 신고했다.
한편 이번에 재산이 공개된 행정부처 고위공직자 중 1위는 김영진 법무부 대한법률구조공단 이사장으로 본인 명의의 서초구 반포동 아파트(18억3200만원) 등 총 59억800만원을 신고했다.
이재명 정부에서 새로 임명된 차관 중에서는 이상경 국토교통부 1차관이 56억6300만원을 신고해 재산이 가장 많았다.
박윤주 외교부 1차관은 강남구 개포동 아파트(23억7600만원)를 포함해 총 24억3700만원을 신고했다. 재산이 공개된 행정부처 차관 7명의 평균 재산은 20억7100만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