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 복구비 1230억 확보…기후위기 대응형 복구 '착수'

담양군, 복구비 1230억 확보…기후위기 대응형 복구 '착수'

하천·도로·농업 기반 전면 재설계…216억 선집행
사유시설 지원금 63억 확정, 3425세대 57억 지급

기사승인 2025-10-19 11:23:41
지난 7월 집중호우로 특별재난지역에 지정된 담양군이 총 1230억 원의 복구비를 확보하고, 생계 회복 지원과 함께 하천·도로·농업 기반시설의 전면 재설계에 착수했다. /담양군
지난 7월 집중호우로 특별재난지역에 지정된 담양군이 총 1230억 원의 복구비를 확보하고, 생계 회복 지원과 함께 하천·도로·농업 기반시설의 전면 재설계에 착수했다.

군은 재난관리시스템(MDMS) 신속 입력과 중앙부처 사전 조사 대응을 통해 복구재원 1230억 원을 확보했다고 17일 밝혔다.

재원 구성은 공공시설 1167억 원, 사유시설 63억 원이며, 공공시설은 담양군 관리 245개소 745억 원, 전남도 관리 6개소 412억 원, 군부대 4개소 10억 원으로 배분된다.

현재까지 216억 원(집행률 17.5%)이 선집행됐다. 이 가운데 국비 84억 원은 도로·소하천 등 기반시설 복구에 투입되고, 특별교부세 75억 원(자체복구 35억·지방비 매칭 40억)은 긴급 복구 구간에 배정됐다.

사유시설 재난지원금은 총 63억 원이 확정됐으며, 이 중 57억 원이 3425세대에 이미 지급돼 주택·상가·농작물 피해 주민의 일상 회복을 돕고 있다.

군은 자연재난 구호 및 복구 비용 부담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피해 유형·평가 기준이 세분화돼 동일 피해라도 지원액이 달라질 수 있는 점을 알리고, 지급 절차의 투명성을 강화해 형평성 논란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행정 예산 외에도 고향사랑기부제 지정기부사업을 통해 복구 재원을 보강했다. ‘폭우피해 복구 긴급모금’은 목표액 1억 원을 조기에 달성해 총 1억4000만 원이 모였고, 피해 지역 응급복구비로 지원된다.

군은 복구 목표를 ‘동일 피해의 반복 차단’에 두고 재해예방 중심의 복구사업을 추진한다.

반복 침수 지역은 하천 단면 확장과 제방 높이를 올려 유수 용량을 1.5배 이상 확대하고, 주요 하천에는 콘크리트 옹벽과 생태블록 사면을 병행해 침식 저항성을 높인다.

농업용 수로는 배수관 직경을 키우고, 펌프장에는 자동제어 시스템을 도입한다. 주요 배수펌프장·양수장에는 전원 이중화를 적용해 정전 시에도 즉시 가동될 수 있도록 설계했다.

산사태 취약지는 낙석방지망과 사면 보강공을 추가하고, 교량 하부에는 세굴 방지공법을 병행해 구조 안전성을 강화한다.

군은 현장 의견을 토대로 배수로 개선, 하천 정비, 농경지 배수시설 보강 등 생활 밀착형 항목을 우선 보완하고, 상습 침수 지역은 주민 제안을 설계에 적극 반영한다. 시공 단계부터 실시간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해 피해 재발을 차단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담양군은 이번 복구 과정을 계기로 스마트 경보체계, 마을 단위 자율방재단 지원, 주민 재난안전교육을 결합한 ‘사전 예측–즉시 대응–사후 개선’의 ‘담양형 재난관리 표준모델’을 마련한다.

한편, 담양군은 지난 7월 집중호우 당시 공공 223억 원, 사유 186억 원 등 총 409억 원의 피해가 발생했다. 

정철원 담양군수는 “이번 복구는 단순한 피해 회복을 넘어, 재난 대응 체계를 새롭게 세우는 출발점”이라며 “이장님을 비롯한 관계 공무원의 신속한 대처로 확보한 1230억 원을 투명하고 신속하게 집행해 재난에 강한 지역으로 거듭나겠다”고 말했다.
김재환 기자
jh0323@kukinews.com
김재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