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래에셋그룹이 24일 조직개편과 정기 임원 인사를 단행했다. 그룹은 이번 인사를 통해 ‘Mirae Asset 3.0’ 비전을 선포하고 전통자산과 디지털자산의 융합을 통한 미래 금융 혁신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미래에셋그룹은 “고객자산(AUM) 1000조원을 돌파하며 글로벌 투자전문그룹으로 도약한 만큼, 이번 개편은 성장 전략인 글로벌·인공지능(AI)·디지털·리스크 관리 중심으로 전사 체질을 전환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인사에서 주요 계열사 대표이사가 대거 교체됐다. 미래에셋캐피탈 대표에는 신성장투자 전문가인 정지광 대표가, 미래에셋컨설팅 대표에는 부동산 개발 전문가인 채창선 대표가 각각 선임됐다. 에너지인프라자산운용 또한 계열사 비전과 전문 역량을 갖춘 내부 인사를 중심으로 새로운 리더십 체계를 구축했다.
미래에셋증권은 AI·디지털자산 분야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Tech&AI’ 부문을 신기술 전담조직으로 개편하고, Web3 기반의 신규 성장 동력을 마련한다. 또 연금시장의 확대에 대응해 기존 연금RM 3개 부문을 4개 부문으로 확대했다.
자본시장 내 모험자본 공급 기능 강화를 위해 투자은행(IB)사업부도 새로 꾸렸다. ‘IB1’과 ‘IB2’ 부문을 총괄하며 생산적 금융 중심의 자금 공급 역할을 맡는다. 본격적인 종합투자계좌(Investment Management Account) 사업 추진을 위한 IMA본부도 신설했다. 내부통제 및 금융소비자 보호 강화를 위해 금융소비자보호본부는 부문으로 격상됐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차별화된 투자전략과 ‘킬러 프로덕트’ 개발을 통해 상품 경쟁력을 높이고, 투자자에게 다양한 투자 기회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미래에셋그룹은 “시장 변화에 대응해 선진화된 내부통제 시스템을 구축, 리스크 관리 체계를 강화하고 투자자 보호를 최우선으로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미래에셋생명은 건강보험 중심의 영업조직을 강화하고 AI 기술을 활용해 상품개발 및 고객 서비스 효율성을 제고한다. 그룹 관계자는 “미래에셋은 성장하는 금융그룹으로서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디지털 기반의 금융 혁신을 선제적으로 추진할 것”이라며 “글로벌 디지털 월렛(Global Digital Wallet) 구축을 목표로 국내외 Web3 비즈니스를 본격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